홈 > 디렉토리분류

초학자훈증집(初學字訓增輯)

장서인영 이미지 가+ 가-

자료UCI: RIKS+CRMA+KSM-WD.1664.0000-20160331.OGURA_65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 분류 고서-운서 | 교육/문화-문학/저술 | 경부-소학류
· 작성주체 정단몽(程端蒙, 1143-1191) 집
이식(李植, 1584-1647) 증집 역대인물바로가기
· 판종 목판본
· 발행사항 전라도(全羅道) : [발행처불명], 현종 5(1664)
· 형태사항 3卷1冊(33張) : 四周雙邊 半郭 19.4×13.5cm, 有界, 10行20字, 上下內向2葉花紋魚尾 ; 28.8 X 17.7 cm
· 주기사항 表題: 字訓
版心題: 字訓增輯
書根題: 字訓
序: 崇禎甲辰(1664)二月日恩津宋時烈(1607-1679)序
初學字訓增輯跋: 崇禎己卯(1639)九月初吉 德水李植(1584-1687)謹書
표제자 및 주요 부분 음영
· 현소장처 일본 동경대학 오구라문고
· 청구기호 L174942

안내정보

이식(李植, 1584-1647)이 아동을 교육하기 위하여 한자의 뜻을 알기 쉽게 풀이한 책이다. 1639년(인조 17) 정단몽(程端蒙)의 『자훈(字訓)』을 기본으로 삼고 여러 경전 및 성리학자들의 학설을 참고하여 엮었다. 이후 그의 아들 이단하(李端夏)가 전라감사 조귀석(趙龜錫)의 도움을 받아 송시열(宋時烈)의 발문을 붙여 1664년 3권 1책의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상편에는 천도(天道)·심성(心性)·덕행(德行) 등 53자, 중편에는 역(易)·극(極)·태극(太極) 등 58자 등 전편에 걸쳐 138개의 개념어를 풀이하였다. 하편에서는 총 24조의 성리학설을 채집하여 부기하였다.

이미지

장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