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분류

재물보(才物譜)

장서인영 이미지 가+ 가-

자료UCI: RIKS+CRMA+KSM-WZ.0000.0000-20090716.AS_SA_28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 분류 고서-기타 | 교육/문화-문학/저술 | 자부-유서류
· 판종 필사본
· 발행사항 [발행지불명] : [발행처불명], [발행년불명]
· 형태사항 4冊 : 無匡郭, 無界, 10行24字 註雙行, 無魚尾 ; 27.5 X 18.0 cm
· 주기사항 印: 禹昌圭章
· 현소장처 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
· 청구기호 35.12

안내정보

『才物譜』는 조선 후기에 이만영(李晩永)(1748-?)이 1798년(정조 22)에 엮은 類書로 『萬物草』라는 제명으로도 유통되었으며, 그 내용은 우주와 자연, 인륜, 역사‚ 문물‚ 제도, 동식물 등과 관계된 한자 어휘를 太極, 天譜‚ 地譜‚ 人譜‚ 物譜의 다섯 부문으로 나누고, 그 아래에 세목별로 분류하여 편찬한 4책 불분권 필사본이다.

상세정보

편저자사항
『才物譜』의 편찬자에 대해서는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8권 8책본 [한古朝91-23]에 실려 있는 서포(西浦) 김만중(金萬重, 1637-1692)의 현손인 김윤추(金允秋, 자 庭堅)가 쓴 「才物譜序」에 ‘나의 벗 이성지(李成之)가 재주가 높고 학문이 넓어(吾友李成之, 才高博學.)’라고 한 것과 각 권의 권수제 아래에 ‘韓山李晩永成之裒集’이라는 기록으로 볼 때 이만영(李晩永)이 편찬자임을 알 수가 있다.
이만영(李晩永)에 대한 『司馬榜目』의 기록에는 본관은 韓山, 자는 成之, 戊辰年인 1748년(英祖 24)에 출생하였으며, 48세 때인 1795년(정조 19) 乙卯 式年試에 生員 二等 11위로 합격하였고, 조부는 淸州鎭管兵馬僉節制使를 지낸 이병정(李秉鼎, ?-?)이며, 아버지는 成均生員인 이흥중(李興重, 1713-?)으로 거주지는 廣州라고 하였다. 또 『日省錄』에 이만영(李晩永)과 관계된 기사가 보이는데, 1807년(순조 7)에 孝陵參奉이 되고, 이어서 禁府都事가 되었으며, 1812년(순조 12)부터 71세인 1816년(순조 16)까지 玉果縣監을 지냈다고 하였다.
이러한 것으로 볼 때, 편찬자 이만영(李晩永)은 재주가 있고 박학하였으나 두각을 드러내지 못하다가 司馬試에 합격하고서 일정 기간에 걸쳐 『才物譜』를 편찬하였고, 순조 초기에 겨우 관로에 진출하여 玉果縣監을 마지막으로 관로에서 물러난 것으로 보인다.
구성 및 내용
『才物譜』는 『萬物草』라는 제명으로 유통되는 등 여러 이본이 필사본 형태로 존재하지만, 그 구성은 대체로 크게 太極, 天譜‚ 地譜‚ 人譜‚ 物譜의 다섯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본서는 4책 불분권에 속하므로 이를 중심으로 각 책별 세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책】
考據題書 : 四書와 三經 등 주요 유교 경전을 비롯하여 역대의 역사서와 諸子書, 중국의 유명 문학 작품과 각종 類書, 梵書, 그리고 『譯語類解』·『農歌集成』·『東醫寶鑑』과 같은 우리나라의 문헌에 이르기까지 모두 76종의 서적을 제시하고 약어를 병기하고 있다.
太極 : 太極(1세목 아래 음양오행 등 우주의 변화와 관련된 표제어 9항)
天譜 : 天/ 天地, 日, 月, 星辰, 星圖, 天河, 風, 雲, 雨, 露, 霜, 雪, 雹, 霧, 雷, 電, 虹, 天幹, 地枝, 納音六甲, 古甲子, 年, 春, 夏, 秋, 冬, 月, 正月, 二月, 三月, 四月, 五月, 六月, 七月, 八月, 九月, 十月, 十一月, 十二月, 閏月, 日, 時(天과 관련된 42세목)
附鬼神 : 神, 福, 禍, 讖(4세목)
地譜 : 地/ 輿地圖, 朝鮮地圖(朝鮮摠圖, 八道地圖), 國, 都城圖, 外夷, 邊鄙, 道路, 土, 山, 丘, 谷, 水, 海, 江, 河, 川, 泉, 瀑布, 池, 澤, 井, 溝, 隄, 浦, 灘, 淵, 津, 沙, 郊, 田, 金類, 玉類, 石類, 火(地와 관련된 34세목)
人譜一 : 人/ 身, 頭, 髮, 鬢, 眉, 面(面部流年圖, 面部十二宮圖), 目, 耳, 鼻, 口, 唇, 舌, 齒, 涎, 咽喉, 頰, 頤, 鬚髥, 項, 肩, 腋, 臂, 手, 胸, 乳, 腰, 腹, 脅, [骨+票], 臍, 背, 尻, 外腎, 陰囊, 肛門, 臀, 股, 膝, 脛, 足, 皮, 毛, 肉, 骨, 筋, 血, 脈, 經絡, 十二經穴, 五臟, 六腑, 精, 氣, 神, 息, 力, 津液, 汗, 眠, 容, 拜, 揖, 言, 笑, 哭, 嘆息, 嘯, 呼, 疾, 死, 年, 男, 女, 小兒, 老人(人과 관련된 75세목)
【제2책】
人譜二 : 人倫/ 父, 母, 祖, 曾祖, 高祖, 先祖, 祖母, 曾祖母, 高祖母, 叔, 叔母, 姑母, 子, 女, 孫, 夫, 妻, 兄, 弟, 孿, 從, 姪, 姉妹, 舅姑, 子婦, 嫂叔, 妯娌, 娣姒, 外祖父母, 內舅, 姨母, 外孫, 內從兄弟, 外舅姑, 壻, 友壻, 舅子, 査, 妾, 庶母, 宗族, 戚, 姓, 名, 諡號, 君, 天子, 諸侯, 皇后, 妃, 太上皇, 皇太后, 太子, 親王, 公主, 駙馬, 戚里, 璿系, 歷代, 我東歷代, 臣, 官職(人倫과 관련된 62세목)
人譜三 : 人倫/ 師, 朋友(人倫과 관련된 2세목)
民/ 士 附科擧 附異端, 農, 工, 買(民과 관련된 4세목)
雜術/ 醫, 卜筮, 日者, 天文學, 地術, 相者, 談命, 巫覡, 太子, 遁甲, 幻術, 仙(雜術과 관련된 12세목)
庶流/ 閹, 宮女, 譯官, 畵師, 律官, 計司, 椽, 吏, 隸, 傭, 奴婢, 俠客, 客, 乞人, 徘優, 倡妓, 淫女, 屠兒, 盜賊(庶流와 관련된 19세목)
【제3책】
人譜四 : 人品, 人事, 禮(冠禮, 婚禮, 喪禮, 祭禮, 我朝國忌), 樂, 兵, 刑(6세목)
物譜 : 品物, 物用, 聲, 色, 臭, 味, 宮室, 舟, 車, 衣, 冠, 帶, 杖, 屨, 飮食, 布帛, 財貨, 技戱, 數, 程準(度, 量, 衡), 器用(22세목)
【제4책】
物譜 : 羽蟲譜, 毛蟲譜, 鱗蟲譜, 介蟲譜, 昆蟲譜, 穀譜, 菜譜, 果譜, 草譜, 木譜, 竹譜(11세목)
이상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전체 내용은 크게 ‘太極, 天譜‚ 地譜‚ 人譜‚ 物譜’의 다섯 부분으로 나누고, 그 아래에 ‘太極, 天, 地, 人, 人倫, 民, 雜術, 庶流’와 같이 필요한 경우에는 다시 중간 단계의 항목을 두고 있다. 그러나 제3책과 같이 중간 단계의 항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생략하였고, 제4책에서는 다시 이 중간 단계의 항목을 ‘--譜’라는 형식으로 구분하고 있다.
내용에 있어서는 모든 표제어에는 주석이 있고, 표제어에 대한 동의어와 유의어를 이어서 제시하고 이에 대해서도 주석을 달고 있다. 우리말 대역어가 있는 경우에는 한글로 표기를 하고 있으며, 別名····俗名・西域名·梵名·譯語가 있을 경우에는 이를 표기하였다. 또 주석 다음에는 필요한 경우에 괄호 안에 출전 서명을 약어로 표기하고 있는데, 이것은 제1책의 앞부분에 제시된 考據諸書의 약어 표기를 그대로 적용한 것이다.
서지적 가치
『才物譜』는 4책본 또는 8권 8책본의 필사본 형태로 유통되었으며, 『萬物草』(<奎 7694>)라는 제명으로도 유통된 것이 보인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과 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약 20여 종의 이본이 소장되어 있다. 편찬 시기에 대해서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한古朝91-23]과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본 <奎 4440>의 卷4 「人譜 我朝國忌」에 정조의 忌日이 기록되어 있고‚ <奎 7694>에는 순조의 忌日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각각 정조의 사후인 순조대와 순조의 사후인 헌종대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가람 古 039.51-J178>은 책의 형태와 한글의 쓰임으로 보아 더 후대에 필사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런데 본 4책본의 제3책 「我朝國忌」에서 思悼世子의 忌日까지만을 기록하고 있어 정조 때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4책본을 8권 8책본과 비교했을 때, 본서는 편차와 세목의 설정, 그리고 내용에 약간의 출입이 보인다. 즉 편차에 있어서는 8권 8책본의 경우에 매 책은 각각 권이 되고, 권1에 太極‚ 天譜‚ 地譜‚ 권2에 人譜一, 권3에 人譜二, 권4에 人譜三, 권5에 人譜四, 권6에 物譜一, 권7에 物譜二, 권8에 物譜三의 순서로 되어 있다. 이에 비해 4책본은 권차를 설정하지 않고 분류하고 있는데, 제1책에 太極‚ 天譜‚ 地譜‚ 人譜一, 제2책에 人譜二, 人譜三, 제3책에 人譜四, 物譜, 제4책에 物譜로 되어 있다. 또 8책본과 4책본 모두 각 책의 앞에는 목록을 제시하고 있으나, 4책본에만 考據題書을 목록보다 앞에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본 4책본에서는 지도와 그림이 생략되어 있으며, 4책본에서 보이지 않던 세목을 8책본에서 새로 설정하여 표제어를 배열하고 있는 경우가 있고, 8책본에 보이는 표제어가 없는 경우가 있으며, 표제어의 한글 대역어에서도 서로 약간씩의 출입을 보인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본 4책본은 원본에 가장 가까운 필사본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후대에 편차를 체계화하고 내용을 보완하여 8권 8책본을 재편집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8권 8책본을 저본으로 亞細亞文化社에서 1980년에 韓國學古辭典叢書 14책으로 영인된 바가 있다.
내용적 가치
『才物譜』는 조선후기에 한자 어휘를 중심으로 편찬된 類書이다. 유서가 중국으로부터 수용되어 독자적인 내용으로 편찬되기 시작한 것은 권문해(權文海)가 엮은 『大東韻府群玉』을 비롯하여 이수광(李睟光)의 『芝峰類說』, 김육(金堉)의 『類苑叢寶』, 김진(金搢)의 『彙語』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유서는 대체로 작시를 위해 韻目에 따라 분류하거나, 인물·일화·경학·역사·국가 제도 등을 중심으로 백과사전식 해설을 하고 있었다. 조선후기로 들어와서는 실학적 학풍의 태동과 청나라의 문물과 고증학의 유입으로 새로운 지식에 대한 욕구의 팽창과 기존 지식의 정리를 위해 이전 시기보다 더 다양한 유서가 편찬된다. 특히 조선의 역사와 전고, 그리고 언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유서의 내용을 더욱 풍부하게 하였다.
『才物譜』는 이러한 유서 가운데 해당 어휘들을 그 의미의 상관관계에 따라 분류하여 유의어와 관련어를 제시하고, 간략하게 訓釋을 붙여 각 어휘의 의미 차이를 밝힌 한자 어휘 사전으로 이후에 편찬되는 物名類 유서의 시초가 된다. 즉 『才物譜』를 증보한 편자 미상의 『廣才物譜』, 1802년 이희환(李囍煥)과 그의 아들 이재위(李載威)가 편찬한 『物譜』, 18세기 초에 정약용(丁若鏞)이 편찬한 『靑館物名考』, 1824년(추정) 유희(柳僖)가 편찬한 『物名攷』등이 『才物譜』로부터 편차와 분류 체계 등을 본떠서 편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才物譜』는 당시의 우리말 표기 체제를 살피는 데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본문에서 제시한 표제어 다음에 우리말 대역어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한글로 표기하고 있는데, 여러 이본마다 한글 표기의 형태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어휘 변천의 역사를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된다. 그리고 『才物譜』에 보이는 당시의 국어 표기상의 특징으로는 연철과 중철‚ 자음동화와 원순모음화, 전설모음화, ㅣ모음 역행동화, ㄷ구개음화, ㄱ구개음화, ㄹ탈락 현상 등이 있고, 종성 표기에서는 7종성법을 대체로 지키면서 ㄷ말음 어간이 ㅅ으로 통일되어 가고 있는 현상이 보며, 의태어와 색채어 등 근대 국어의 다양한 면모를 살펴 볼 수가 있다.
조선시대에 편찬된 대부분의 유서가 한문으로만 기록된 것에 비해 『才物譜』는 우리말 대역어를 제시하면서 의미관계에 따라 유의어와 관련어로 분류하고, 그 의미 차이를 밝힌 한자 어휘 사전이라는 점은 다른 유서와 변별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겠다.
참고문헌
韓國學文獻硏究所 編, 『才物譜(韓國學古辭典叢書 14)』, 亞細亞文化社, 1980.
韓國學中央硏究院, CD-ROM 사마방목(司馬榜目), 韓國學中央硏究院.
서울대 규장각, 『규장각한국본도서해제』, 서울대 규장각, 1978-1983.
방학수, 「才物譜에 對한 國語學的 硏究」, 檀國大學校 석사학위논문, 1986.
심경호, 「朝鮮後期 漢字語彙分類集에 관하여」, 『朝鮮後期漢字語彙檢索辭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고정의, 「재물보와 물보의 이두」, 『울산어문논집』 13-14, 울산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1999.
홍윤표, 「柳僖의 『物名攷』」, 『語文硏究』 28,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0.
유경민, 「분류 어휘집의 “사람(人)" 관련 표제항 연구」, 『한국어 의미학』32, 한국어의미학회, 2010.
이덕희, 「근대 국어 물명 어휘집 연구 : 사전적 분류와 어휘 체계를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심경호, 「한국 類書의 종류와 발달」, 『민족문화연구』 47,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7.
심경호, 「연세대 소장 유서 및 한자어휘집의 가치」, 『동방학지』 146,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9.
정은주, 「실학파 지식인의 물명에 대한 관심과 『物名類解』」, 『한국실학연구』 17, 한국실학학회, 2009.
집필자 : 신상현

이미지

장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