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분류

삼옥삼쥬(三玉三珠)

이미지 가+ 가-

자료UCI: RIKS+CRMA+KSM-WZ.0000.0000-20180331.KY_W_75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 분류 고서-기타 | 교육/문화-문학/저술 | 집부-소설류
· 판종 필사본
· 발행사항 한성(漢城) : 애오개, [조선후기]
· 형태사항 1冊(30張, 零本, 卷1缺) : 21.3 X 17.5 cm
· 주기사항 表題: 三玉三珠 二
內題: 삼옥삼쥬권지이
識記: ○○○일ᄋᆡ현필셔
· 현소장처 일본 경도대학 가와이문고
· 청구기호 なし 200023

안내정보

조선후기 여성영웅소설로「옥주호연(玉珠好緣)」, 「삼옥삼주기(三玉三奏記)」, 「음양삼태성(陰陽三台星) 」등 다양한 제명으로 현전하는 작품이다. 본래 2권 2책으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 권지이(卷之二)만 남아있다.

상세정보

편저자사항
경도대학 가와이문고본「삼옥삼주」에는 편저자, 필사자, 필사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정확한 단서가 남아 있지 않다. 다른 이본들의 경우를 참고해 보면, 단국대학교 소장 국문필사본「삼옥삼주기」의 경우 "겨축정월이십구일필셔"라는 필사기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경판 29장본 「옥주호연」의 말미에는 "辛亥元月"이라는 판각년도가 존재한다. 활자본 「음양삼태성」의 경우 회동서관(匯東書館)에서 1925년 발행된 바 있다.
구성 및 내용
제명인「삼옥삼주」는 남주인공 '완', '진', '경'과 여주인공 '자주', '벽주', '명주'를 상징한다. 「삼옥삼주」의 이본들은 대개 오대(五代) 육국(六國) 시절을 배경으로 하며 한림학사 채문경 부부가 천상으로부터 보옥(寶玉) 세 개를 얻는 꿈을 꾸고 아들 세쌍둥이를, 가산이 부요한 유원경 부부가 보주(寶珠) 세 개를 얻는 꿈을 통해 딸 세쌍둥이를 얻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최문경의 아들 삼형제와 유원경의 딸들이 자라서 같은 문하에서 병법과 무예를 수학하다가 출장하여 나라를 위기로부터 구원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혼인을 이루어 백년해로한다는 줄거리로 이루어져 있다. 가와이문고본의 경우 낙질로 전체적인 줄거리를 확인할 수 없다. 현재 남아있는 권지이는 최씨 삼형제와 남복(男服)으로 개착한 유씨 세 자매가 무예를 수학하고자 길을 행하던 중 우연히 만나 통성명을 하는 장면부터 시작된다. 이후 이들의 무예 수학, 출장, 금의환향 등의 내용이 차례로 다루어진다.
서지적 가치
「삼옥삼주」의 이본으로는 필사본 5종, 경판본 2종, 활자본 2종의 존재가 보고된 바 있다. 이들 이본들은 19세기 후반(1877년)에서 20세기 초반(1925년)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가와이문고본은 자료가 심각하게 손상되어 필사기의 판독이 불가능하다. 이처럼 가와이문고본은 낙질에 자료의 손상으로 정확한 판독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분권 방식이 독특하다는 측면에서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삼옥삼주」의 필사본 이본들은 대부분 단권이며 가와이문고본처럼 분권된 자료는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았다. 가와이문고본의 권지이가 남녀 주인공들의 만남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을 볼 때, 일실된 권지일에서는 주인공들의 탄생과 관련하여 그 신이성(神異性)이 강조되거나, 유원경의 딸들이 부모와 대립하여 남복으로 개착하는 과정이 다른 이본들에 비하여 상세하게 다루어졌을 가능성이 적지 않다.
내용적 가치
「삼옥삼주」는 19세기 소설사의 특성으로 여겨지는 유형 간 혼효 현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으로 평가되어 왔다. 단편영웅소설의 구조를 바탕으로 하면서 장편국문소설을 모방하여 복수주인공을 설정하는 한편, 여성이면서 남성적인 입신양명을 꿈꾸는 복합적인 인물들을 형상하는 등 작품의 면면들이 분석된 바 있다. 그러나 서지학적 측면에서 자료들의 개별적인 특성은 아직까지 충분히 논의되지 못한 듯하다. 앞으로 가와이문고본을 비롯하여「옥주호연」, 「삼옥삼주기」, 「음양삼태성」등 다채로운 제명으로 존재하는 자료들의 양상과 그 위상에 대해 좀 더 섬세하게 살펴 볼 필요가 있지 않은가 한다.
참고문헌
여세주, 「古小說 「玉珠好緣」 再攷」, 『한국어문연구 』4, 한국어문연구학회, 1988
이유경, 「「옥주호연」에 나타난 남녀의 정체성 형성 양상과 그 교육적 의미」, 『고전문학과 교육』, 31,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6
이지하, 「「옥주호연」의 특징과 소설사적 의미」, 『古典文學硏究』43, 한국고전문학회, 2013
황희선, 「「옥주호연」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집필자 : 이유진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