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분류

당ᄇᆡᆨ젼(張伯傳)

이미지 가+ 가-

자료UCI: RIKS+CRMA+KSM-WZ.0000.0000-20180331.KY_W_75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 분류 고서-기타 | 교육/문화-문학/저술 | 집부-소설류
· 판종 필사본
· 발행사항 [ᄒᆞᅵᆼ동] : [발행처불명], [광무 1(1897)]
· 형태사항 2卷2冊(26張, 60張) : 11行16字(字數不定) ; 23.8 X 17.9 cm
· 주기사항 表題: 張伯傳
內題: 쟝ᄇᆞᅟᅵᆨ젼 권지일, 권지이 죵
識記(권1): 셰ᄌᆞㅣ졍유중추ᄒᆞᅟᅵᆼ동셔
識記(권2): 阿峴洞○○鄭○○
· 현소장처 일본 경도대학 가와이문고
· 청구기호 なし 200015

안내정보

조선후기 영웅소설로 「소대성전(蘇大成傳)」, 「장풍운전(張風雲傳)」, 「최현전(崔賢傳)」등과 함께 『상서기문(象胥記聞)』에 언급된 바 있다. 주인공 '장백'이 천명(天命)에 따라 원나라 황제를 항복시키고 주원장을 도와 새로운 왕조를 열어간다는 줄거리를 바탕으로 한다. 총 2권 2책의 분량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세정보

편저자사항
권지일 말미에 "셰ᄌᆡ졍유즁슈ᄒᆡᆼ동셔"라는 필사기가 존재하는 것을 볼 때 1897년 무렵 필사된 자료로 판단된다. 가와이 히로다미(河合弘民)가 경성분교(京城分校)의 재직 당시(1907년) 아현세책점(阿峴貰冊店)에서 구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성 및 내용
원나라 능주 땅을 배경으로 대대 명문거족의 후예로 태어난 '장백'이 천명에 따라 원나라를 버리고 '주원장'과 함께 명나라를 창업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한다. 「장백전」은 연의소설(演義小說), 설화(說話) 등의 영향으로 형성되었으며, 국가에 대한 충절을 강조하는 대부분의 영웅소설과 달리 왕조의 교체가 등장한다는 측면에서 '왕조교체형' 작품으로 분류되어「유문성전(柳文星傳)」, 「현수문전(玄壽文傳))」등과 함께 비교·분석된 바 있다. 가와이문고본의 권지일은 주인공 장백의 가계를 제시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며 권말에 철관도사의 제자인 단양태수와 대결이 시작되는 장면까지 제시된다. 이어지는 권지이에서는 단양태수와의 대결이 본격적으로 다루어지며 권말에 이르러 주원장이 원제로부터 천하를 양위 받고 장백을 '안평군'으로 봉하는 한편 창업공신들에게 벼슬을 내려주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서지적 가치
「장백전」의 이본으로는 필사본 16종, 경판본 1종, 구활자본 9종이 현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와이문고본은 군담의 중대한 대목에서 내용이 끊어져 독자들이 다음 권을 대여하도록 분권되어 있다는 측면에서 다른 필사본 이본들과 분명한 차이를 드러낸다. 한편 이본에 따라 구체적인 내용에서 조금씩 차이가 발견되기도 한다. 장백이 천관도사에게 무술을 전수받기 전까지는 가와이문고본과 구활자본이 거의 동일한 내용과 표현을 나타내며, 이후의 내용부터는 가와이문고본과 경판본이 일치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처럼 가와이문고본은 세책본의 자료적 특성과 함께 방각본, 활자본과의 차이를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는 측면에서 상당히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내용적 가치
「장백전」은 일찍이『상서기문』에 언급된 작품으로 중국소설, 설화, 국내 영웅소설과의 영향관계 등 주로 영웅소설의 형성 국면을 둘러싼 단서를 담고 있는 작품으로만 이해되어 왔다. 「장백전」의 전개과정에 대한 문제의식은 중국소설의 영향으로부터 출발하여 국내 다른 영웅소설 작품과의 변별성을 논의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가와이문고본은 이러한「장백전」의 전개과정을 온전히 이해해 나가는데 상당히 유용한 자료로 판단된다. 지금까지 「장백전」 이본들은 개별적 존재로 몇몇 이본들만 주목을 받아왔는데, 가와이문고본을 통해 필사본, 방각본, 활자본의 긴밀한 영향관계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참고문헌
강문종, 「「장백전」의 설화화 과정과 그 양상」, 『장서각』24,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김도환, 「고전소설 군담의 확장방식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김용기, 「왕조교체형 영웅소설의 왕조교체 방식」, 『국어국문학』153, 국어국문학회, 2009
유춘동, 「일본 교토대학 소장, 세책 고소설의 서지적 연구」, 『서지학연구』69, 한국서지학회, 2017
임성래, 「영웅소설과 사회: 「장백전」을 중심으로」, 『원우론집』12,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4
집필자 : 이유진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