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분류

조선인양팔백(朝鮮印樣八百)

이미지 가+ 가-

자료UCI: RIKS+CRMA+KSM-WG.0000.0000-20140422.TOYO_161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 분류 고서-서화 | 교육/문화-예술 | 자부-예술류
· 판종 검인본
· 발행사항 [발행지불명] : [발행처불명], [20世紀]
· 형태사항 1冊(76張) : 四周單邊 18.5 x 14.5 cm ; 23.0 X 19.0 cm
· 주기사항 內題: 各樣印章圖書押本
表紙墨書: 大院君印譜
受贈記: 昭和十六年(1941)九月一日幣原坦殿惠貺
· 현소장처 일본 동양문고
· 청구기호 Ⅶ-2-136

안내정보

조선시대 문인들이 사용하던 인장 829방이 76장에 걸쳐 실려 있는 인보(印譜)이다. 이중에는 대원군(大院君) 이하응(李昰應)의 인장 90방이 함께 수록되어 있다.

상세정보

편저자사항
본서에는 편저자가 나타나 있지 않다.
구성 및 내용
표제 옆에 '大院君印譜'라는 묵서가 있는데 후대의 글씨다. 표지에는 능화문이 있고 5침안정법으로 장정되어 있다. '各樣印章圖書押本'이라는 내제(內題)를 쓴 종이가 있으나 앞표지에 붙여 놓았다. 내제를 쓴 종이 위에 붙어 있는 장서표(藏書票)에는 '昭和十六年九月一日 幣原坦殿 惠貺 東洋文庫'라고 인쇄되어 있다. 또한 첫 번째장 광곽 우측 하단에는 '東洋文庫'라는 장방형의 인장이 있고, 서미(書眉)에는 '財團法人東洋文庫 昭和十六年九月一日'이라는 타원형의 인장이 날인되어 있다. 본서가 시데하라 히로시(幣原坦)(1870-1953)의 기증으로 1941년 9월 1일에 동양문고에 수장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또한 처음에는 '각양인장도서압본(各樣印章圖書押本)'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가 표지를 만들면서 '조선인양팔백(朝鮮印樣八百)'이라는 서명이 붙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원군(大院君) 이하응(李昰應)(1820-1898)의 인장이 다수 등장하고 있는 점이나 서명 및 책의 상태로 볼 때 구한말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인장의 인문 상태로 보아 모각하여 인보를 만든 것이 아니라, 대부분 원래 인장을 직접 날인하여 만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는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1786-1856)가 사용하던 인장이 여러 방 있고, 대원군 이하응의 것으로 보이는 인장은 90방이나 수록되어 있다. 특히 43〜49장에 실린 인장은 모두가 대원군의 인장으로 보이며, 그 밖에도 몇 군데 대원군의 인장이 실려 있다. 본서에는 총 829방의 인장이 76장에 걸쳐 날인되어 있는데, 장차(張次)별로 수록된 인문은 다음과 같다.

장차

인장수

인      문

1

14

富貴壽昌, 江湖漁舟, 山間明月, 閒與仙人掃落花, 且陶樂取天眞, 閑暇無事修太平, 游戱三昧, 江上淸風, 泉洌酒香, 心曰緘, 容我醉時眠, 特價 외 2방

2

7

琴書知己, 不堪持贈, 石坡本是學佛人, 墨緣, 赤松子尙在上界否. 好花看到半開時, 一室秋燈一庭秋雨更一聲秋雁

3

18

好難言, 蘭生, 對尊弄筆, 貫道之器, 剪裁紅綠, 蘭生, 春在梨花, 大雅, 種福之田, 一條氷, 誤, 丹井玉露, 桂岩, 心欲小, 如面, 大壽, 老安堂 외 1방

4

14

有懷不盡, 髥頭陀, 閉門讀几書, 唯辛亥吾以降, 不可無一不可有二, 淸潭, 硏田无惡歲酒國有長春, 春如綺, 奇石壽太古, 石壽萬年, 翰墨林 외 3방

5

6

文章如金玉有定價不容人愛憎, 我兮心寫, 楊柳當年, 愛花成癖, 袌烏號不如藏此書, 書被催成墨未濃

6

8

有心爭似無心好, 實事求是, 覃思似終業, 我思古人, 借此聊遊戱, 居然我泉石 외 2방

7

10

筆硯精良, 翰墨淸緣, 新篁韻敲, 天然去彫飾, 圖書悅性, 此中自有佳趣, 芝蘭君子性, 只在伊人蒹葭秋水, 絳槑書屋 외 1방

8

11

萬樹桃花月滿天, 味墨堂, 佛奴, 花友, 讀班史, 宜賞無過月與花, 我亦三藏, 天趣橫生, 水有淸山有音, 綠滿窓前草不除, 吾當十日九揮毫

9

13

溫如其玉, 香案吏, 知音者芳心自同, 香雪閣, 心淸聞妙香, 如蘭, 斯馨, 杏花深處人家, 一琴一鶴, 有爲者亦若是, 似蘭, 太白後身, 意可

10

9

日取杞菊地黃閒寫墨蘭數朶, 一簾花雨半床書, 末愚白癡, 芝田蕙圃, 氷壺秋月, 唫德懷和, 不愧屋漏, 飽食晏眠 외 1방

11

10

戰兢臨履, 正大從容, 性發蘭石, 上下千古, 琴人正*, 身其康强*其逢吉, 前身定是明月幾時修到梅花, 守一處和, *對讀書人**自聞香, 古香滿室

12

13

詩酒古人同, 心曠神怡, 鴻爪雪泥, 能飮三葉, 秋聲閣主人, 貴相知心, 坐花醉月, 自然幽雅, 吟弄風月, 柳桃綠紅, 與孫爲友, 眉壽老人, 人間天上

13

11

百鍊是身, 卓犖觀群書, 曾經滄海, 金緘, 金剛, 愛玉, 爲快活人居安樂地, 如南山之壽, 金石交 외 2방

14

12

百年種德, 畢竟意何處集, 二十四番花信, 靈芝醴泉各無本源, 與古爲徒, 長宜子孫, 三泰, 此情烟水深, 餐英, 究竟誰知己, 頭枕三尺瑤琴 외 1방

15

10

忍方便依本分, 二十四橋歌舞地, 別是閑嗞味, 欲藏萬卷異書終身嘯詠其中, 花竹深 , 德音道彌隆, 惟有其人在此間, 无案牘之勞形 외 2방

16

11

陶冶性靈, **須眉男子身生於禮義國又能讀書, 雲下仙緣, 忘拙貽人, 宜笑, 戰兢臨履, 斐園, 一片氷心, 修身齊家, 長作溪山主 1방

17

11

第一太陽館, 和春, 敎孫一學究, 溪上閒人, 陶甄泉石鼓吹煙霞, 詩書雖少愛書香, 海棠花下剩得滋味, 衛正庠邨, 德*居士, 金針繡鴛, 溪榭卽吾家,

18

11

茶熟香溫且自看, 多福多壽多男子, 良辰美景賞心樂事, 十九品玉, 明志, 積書誇富, 家住煙波江上桃花洞里蒼松翠竹深處, 聊戱翰墨, 楊柳風梧桐月*蕉雨梅花月雪, 善如春 외 1방

19

9

吾唯知足, 十硏一劍, 梧鑑道人, 降雪丹, 甲乙丙丁四品石, 山不在高有仙則名水不在深有龍則靈斯是陋室惟吾德馨苔痕上阶绿草色入簾青谈笑有鸿儒往来无白丁可以调素琴阅金经无丝竹之乱耳无案牍之劳形 南阳诸葛庐西蜀子云亭孔子云何陋之有, 運水搬柴館食安眠, 菜花山房珍藏 외 1방

20

9

春雨, 未能壺吉, 松風, 醒醉石, 意到筆不到, 於人無分, 玉田, 前身定是明月, 吟香

21

10

多般杞菊銀海無塵, 蓄良硯墨筆紙, 晩悟, 中得天地心, 莫惜金尊倒, 但求無愧我心, 天祿永昌, 德里樵夫, 不用心來鬧處閒, 蘭儂

22

10

數峰天遠, 月落江橫, 磎人, 禪心俠骨, 甘淸淡, 淡然詩思, 提不生中花察楮墨書畵, 梧桐庭院, 春山如畵, 且以喜樂

23

9

延年益壽, 長毋相忘, 平生有三願, 閒爐煮茗, 讀離騷左氏太史公書, 臨池觀魚, 長宜子孫, 天下安寧壽考長, 爲之猶賢乎已

24

10

果然瀟灑, 茶廚聞香, 煙霞世界, 一花一石如有意, 剛日讀經柔日讀史, 道義無今古, 往往愛逃禪, 蛙鼓*漏, 四官守 외 1방

25

12

十州三島是吾鄕, 以秋蘭以爲佩, 春至人間花弄色, 一日似兩日, 槑雨霽, 有酒學仙無酒學佛, 讀書自西漢以上, 得花勝錢, 溪上情趣, 一江秋月, 竹報平安 외 1방

26

10

無事小神仙, 才高難入俗人機, 左書右圖, 未老方閒, 我念梅花, 東夷之人, 書可怡性, 餘事作詩, 知足者長樂能忍者自安 외 1방

27

11

和樂且湛, 嵇琴阮嘯, 寧靜澹泊, 筆端造化, 若違騎鹿會宜參禪, 施仁晋濟, 君子從來安命, 峰介四徑三川, 一室之內有以自娛, 樓前老松封大夫 외 1방

28

10

曾隨蜨夢迷花下, 學然後知不足, 爲善最樂, 錦上花, 海上釣鼇客 외 5방

29

14

珍重想思, 文行忠信傳家, 天涯若比隣, 趣, 三從, 得少佳趣, 一區花竹四時春, 前園後圃, 雙情, 湖海事士, 非烟語, 竹君梅兄蘭儂, 石天閣, 老石道人珍藏

30

15

使君令人老, 三溪主人, 淸是人知, 幾到得修生, 觀其大略, 獨心坐防, 疏竹蕭蕭曲檻中, 群口居防, 十里荷香, 心如水, 寸心千古

31

12

淸水芙蓉, 德樓是吾居, 煙月資淸眞, 照遠劉書, 秋艇載詩去, 閒鋤明月種梅花, 竹月松風, 心淸滄海月, 閒臥午窓中酒 외 3방

32

12

安情片語中, 蓮花心芭蕉身, 夢人芙蓉浦, 唯庚辰吾以降, 千里見書如見面萬山遮目不遮心, 山高月小水落石出, 吟香, 子子孫孫永寶用, 養花館, 游戱翰墨, 東夷之人 외 1방

33

13

勿我負人, 心迹雙淸, 宰相須用讀書人, 翰墨緣, 心田耕田, 石緣, 有畵無聲詩, 風雨懷人之館, 得酒中趣, 酒尊䪩律, 琉璃寄光, 如面 외 1방

34

13

延壽, 三日不讀書語音無味, 玉壺, 瀟湘一釣徒, 萬壽無疆, 耕雲, 蘭言, 醫俗莫如書, 讀雪, 貫道之器, 宜笑, 以仁存心, 何必見戴

35

14

半窓花影一床書, 書被催成墨未濃, 未飮心先醉, 如如, 萬事亨通吉祥如意, 陸廚顧樓, 守口如缾, 防意如城, 仁山智水, 與物爲春, 吸風飮露, 雲下老安堂, 淸風在柳, 看山如讀畵

36

11

人淡如菊, 翰墨, 以虛受人, 畵圖中, 松枝爲談柄片石爲聽徒, 詩畵新養, 玉杵秋空, 窮神知化, 生无桃李春風面名在山林處士家, 溪山作伴雲月爲濤 외 1방

37

12

我亦*石, 不言而信, 我用我法, 無錢有福, 康, 多錢有累, 天賜長年, 花前啜茶, 聊以自娛, 甘露滋心, 李君山房藏書記 외 1방

38

12

樹香齋, 如印印泥, 性本愛山, 淸風五百間, 日高三丈我猶眠, 石壽萬秊, 臥月, 竹前月紅, 詩畵傳家, 人淡如菊, 願乘長風破萬里浪, 大塊文章

39

13

長白人, 一片氷心, 自怡, 心慕手追, 惜分陰, 東海閒鷗, 寄靜堂晉, 醉臥一片雲, 書外論文睡最賢, 三不如, 翰墨, 一*再思三自反, 千里同心

40

12

杏花春雨, 占盡人閒第一促, 永年, 玉壺買春賞雨茶屋坐中佳士左右修竹, 罨畵, 我法, 粍神仙則我, 一天星斗煥文章, 乾坤一草亭, 留齋壽人, **書樓 외 1방

41

12

法自儒家有, 放情丘壑, 生有畵癖, 壁掛一劍, 無事小神仙, 架置萬卷, 玉出崑岡, 閒時熱香, 澹泊明志寧靜致遠, 五十*休, 如古玉古鼎無近時器, 朝爲灌園夕偃蓬廬

42

11

惟德是依, 香祖, 亦是一樂, 秋月心紅豆, 左書右琴, 寸心千古, 雲山萬里, 平和養性, 詩正情懷澹, 書劍北軍

43

12

石坡(5), 大院君, 大院君章(3), 澹澹流意, 德音不瑕, 錦囊詩艸不敎空

44

11

老安堂, 大院君章(4), 石坡(4), 石坡過眼, 石坡作畵

45

12

石坡(6), 大院君章(4), 李昰應印(2)

46

12

臣昰應私印, 石坡劍桐, 石坡(2), 李昰應印(2), 興宣君臣昰應墨蘭, 石坡未定草, 石坡書畵, 石坡鑑定, 大院君章, 雲厓居士

47

13

石坡(6), 大院君, 大院君章(5), 石坡手牋

48

16

大院君章(3), 石坡(7), 李昰應, 李昰應印(2), 大院君印(2), 石想樓

49

6

石坡書畵, 石坡(2), 大院君章(2), 李昰應印

50

9

說與相思意, 書之歲華其曰可讀, 書被催成墨未濃, 偶然欲書, 淸風五百間, 經史腹便人 외 3방

51

12

老石, 久交知其芳, 詩境, 無過不及, 白水靑山一*人, 種果裁花, 學書, 華間彈局一枰香, 詩酒閒情, 無競齋, 人生一樂, 墨緣

52

10

白鶴觀聽棋, 華陽, 三分江二竹一屋主, 除却借書沽酒外更无一事可關心, 海內存知己天涯若比隣, 供養煙霞, 大海虛舟, 芳草年年, 游戱翰墨, 萬株供揮酒

53

16

情一點, 百福是臻, 心慕手追, 自足一生, 金粟山房, 靑眼客, 詩畵新養, 紅蘭吟館, 臥游, 萬二千峰樵者, 梅顚, 大年, 落紙雲煙, 不遠復, 秦篆漢隸 외 1방

54

15

日月與淸悠然其懷, 春水船, 綠水靑山夜春風明月時與君相別後无日不懷思, 還讀,  香遠益淸, 且提壺花間竹下, 大吉祥, 停雲, 小齋焚香無是非, 此中有眞意, 翰墨緣, 第一功名只賞詩, 觀空虛實, 但恨無過王右軍 외 1방

55

13

寡過未能, 詩酒古人同, 茗飮蔗漿携所有須向山陰上小船, 笑蘭, 月轉華陰, 同心此結意金石曾相交, 落筆如煙霞, 寄情於此, 養得浮生一世拙, 詩中有畵畵中有詩, 紅樹松山綠楊春水 외 2방

56

11

秦國世傳, 假司馬印, 人忘知, 林李, 天朗氣淸, 瑞竹先靑, 努力加餐飯, 梅花繞屋, 中虛外直謂之竹, 蘭亦有春秋, 詩禪酒俠

57

11

月吟, 滄海明月, 江湖一漁翁, 夜來秋近, 山不在高水不在深, 二中四下, 貝葉梵宮, 太一亭, 寸窓晴日寫黃庭, 天下安寧壽考長 외 1방

58

9

養生四印, 端硯竹爐, 晩景太平, 楊柳當年, 趙文敏公書卷不云吾家業儒辛勤置書以遺子孫其志何如後人不讀將至于鬻頹其家聲不如禽犢苟歸他室當念斯言取非其有无寧舍旃, 米家書畵船, 平生所志, 心田日日豊, 何處得來

59

11

此時此境此言, 移*換山, 財成輔相, 東海書生, 三皛三毳, 茶爐經卷, 書多未曾經我讀, 事無不可對人言, 佳辰三月三 , 元氣渾然, 梅竹雙淸

60

11

曾讀數行書, 明月飛來, 讀古人書友天下士, 詩癖, 鴛鴦, 眞佳, 碩果復生, 濃雲抹煙, 守中, 此上神仙之樂, 仙非別人無累者仙

61

12

山不在高有仙則名, 水不在深有龍則靈,  苔痕上階綠, 往來无白丁, 草色入簾靑, 可以調素琴, 閱金經, 談笑有鴻儒, 無絲竹之亂耳无案牘之勞形, 斯是陋室惟吾德馨, 淸遠, 淡定神不散

62

8

南陽諸葛廬西蜀子雲亭, 松濤竹韻, 孔子云何陋之有, 翰墨林, 玩月軒, 月影花香, 知音, 會心,

63

9

三十萬梅花書屋, 南樓明月詠之窓淸風, 成竹山房, 與善人居如入芝蘭之室, 養孫福地, 人可壽以其仁, 此造物者之無盡藏也.只寄得相思一點, 東夷之人

64

8

不足爲外人道也. 子子孫孫永寶用之, 南陽諸葛廬西蜀子雲亭, 祿甲天下, 筆精墨良, 長壽神明 외 2방

65

7

閒來無事不從容, 玉色金臭, 花南硏北, 實事求是, 小闌花韻午晴初, 不有佳作何人申雅懷印, 石坡吟詩處

66

9

圭玷尙可磨言玷不可爲, 景德聚福, 無金玉爾音, 碧琅玕室, 風流, 結屋三間藏萬卷, 爲鳥花寫照, 瓣香 외 1방

67

12

貞心惟有老松知, 淸白傳家, 揮毫落紙如雲如烟, 停云社(2), 德必有隣, 長作溪山主, 沈思翰藻, 潄六藝之芳潤, 其福自厚, 家在江南黃葉村 외 1방

68

14

盥薇鷺, 海內存知己, 偶然欲書, 虞準, 含英咀華, 癡絶, 納于福祿林, 一春無事爲花忙, 聞香, 物新人惟舊, 靜趣, 胡蘆衣樣, 桃李亦千樹 외 1방

69

12

蘇門生, 溫如其玉, 蘇齋墨緣, 翠翁隣曲詩人, 人之好我是我周行, 亦好嬾嬾, 白雲山房, 翰墨緣, 久而敬之, 以文會友以友輔仁 외 2방

70

10

完山世家, 喜氣寫蘭, 春秋大年, 老樹著花, 允眉壽, 氷情玉潔, 樓閣澹春姿, 花月品題 외 2방

71

7

恨不十年讀書, 書柿葉,, 只可自怡悅不堪持贈君, 書紳佩韋, 墨易半卷, 千方印篆室 외 1방

72

11

絳梅樹室, 酒中得趣, 八千歲爲春爲秋, 遠溯倪黃畵派, 碩卿, 曾結蘇米墨緣, 卽事多所欣, 腹中經史, 明叟氏, 心如止水, 天下文章

73

9

中心好之, 我有嘉賓, 謹能補拙, 枯楊生秭, 筐火悅, 山不在高有仙則名水不在深有龍則靈, 世傳忠孝, 前世應仙佛此生有子孫, 一片氷心

74

5

樓前有一樹梧桐數盆芭蕉又小塘蓮花, 石坡, 大院君章, 峨峨兮洋洋乎 외 1방

75

9

乾坤到十淵, 飛雲閣, 闓福之源, 不著一字盡得風流, 從吾所好, 朝讀百篇書暮見七十士, 前招三辰後引鳳皇, 流水今日明月前身, 採山美可茹釣水鮮可食

76

2

落花水面皆文章, 劃然長嘯

합계

829

 

서지적 가치
현전하는 조선시대 인보의 상당수는 한 사람이 사용한 인장이나 한 집안의 인장을 모은 것이다. 물론 여러 사람의 인장을 모은 인보도 있지만 그 양이 100방을 넘는 경우는 드물다. 따라서 본서는 현재까지 확인된 조선시대 인보(印譜)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의 인장이 실려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오세창이 평생 수집하여 만든 『근역인수(槿域印藪)』에 실린 인장의 수가 4000방에 가까우므로 그에 비하면 적은 양이지만 실제 인장을 찍어 만들었다는 점에서는 그에 못지않은 가치가 있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서에는 대원군 이하응의 인장 90방이 실려 있다. 『근역인수』에 실려 있는 대원군의 인장이 25방이므로 현재까지 확인된 것 중에는 가장 많은 양이다. 오세창은 『노안당인보(老安堂印譜)』에서 대원군의 인장을 채집했는데, 『노안당인보』의 현전 여부를 확인할 길이 없다. 따라서 본서는 대원군의 인보의 규모를 추정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도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내용적 가치
본서에 실린 인장들은 성명인(姓名印), 자호인(字號印), 재관인(齋館印) 등이 별로 없고, 대부분 한문인(閑文印)이다. 따라서 시사(詩詞), 성어(成語), 격언(格言) 등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성명인의 경우에는 대원군의 인장을 제외하곤 하나도 없다. 본서는 단순히 성명이나 자호를 확인하는 차원이 아닌, 인장에 새겨진 인문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기존의 인보와는 다르다. 조선시대 한문인(閑文印)을 모은 인보 중에서는 그 양이나 내용면에서 단연 독보적이다. 이는 내용적인 측면에서 본서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가치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오세창, 『근역인수』, 국회도서관, 1968.
집필자 : 박철상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