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분류

보휘(譜彙)

이미지 가+ 가-

자료UCI: RIKS+CRMA+KSM-WJ.0000.0000-20090727.RICH_026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 분류 고서-족보 | 사회-가족/친족-족보 | 사부-계보류
· 판종 필사본
· 발행사항 [발행지불명] : [발행처불명], [발행년불명]
· 형태사항 3冊(全4冊) : 無界, 行字數不定, 無魚尾 ; 41.8 X 28.2 cm
· 주기사항 所藏本: 亨冊, 利冊, 貞冊
· 현소장처 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
· 청구기호 2290.4.1610

안내정보

조선후기에 작성된 것으로 112개 가문의 혈통관계를 기록한 만성보(萬姓譜)이다. 만성보(萬姓譜)는 모든 성관의 혈통관계를 기록한 것이다. 씨족보가 특정 성씨의 혈통관계를 밝힌 것이라면 만성보는 모든 성관의 혈통관계를 기록한 것이다. 모든 성관의 가계를 기록하고 있는 만성보는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렸다. 만성보(萬姓譜)를 비롯해서 백성보(百姓譜), 천성보(千姓譜), 만가보(萬家譜), 백가보(百家譜), 성휘(姓彙), 보휘(譜彙) 등이 그것이다.

상세정보

편저자사항
『보휘(譜彙)』는 조선후기 족보 가운데 모든 성씨의 계보를 기록한 만성보(萬姓譜)로 편저자는 미상이다. 만성보의 경우 원소장처를 알지 못하면 편저자를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 특히 필사본으로 개인 소장본이기 때문에 편저자를 기록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보휘(譜彙)』의 경우 서문과 발문이 없을 뿐만 아니라 필사본으로 개인 소장본이기 때문에 편저자를 확인할 수 없다.
구성 및 내용
『보휘(譜彙)』는 원래 원(元)·형(亨)·리(利)·정(貞) 4책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현재 첫 번째 책인 원(元)이 결본된 상태이다. 첫 번째 책인 원(元)권에는 이(李) 등이 수록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두 번째 책인 형(亨)권에는 56개 가문이 기록 정(鄭), 김(金), 박(朴). 류(柳), 성(成), 민(閔), 신(愼), 라(羅), 우(禹), 도(都), 곽(郭), 변(邊), 전(全), 변(卞), 하(河), 손(孫), 문(文), 금(琴) 등 56개 가문이 기록되어 있다.
세번째 책인 리(利)권에는 홍(洪), 유(兪), 강(姜), 신(申), 한(韓), 허(許), 심(沈), 조(趙), 황(黃) 등 22개 가문이 수록되어 있다. 1권에 비해서 좀 더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음이 특징이다. 네 번째 책인 정(貞)권에는 남(南), 최(崔), 안(安), 권(權), 조(曺), 윤(尹), 원(元), 장(張), 정(丁), 목(睦), 채(蔡), 노(盧), 서(徐), 오(吳), 임(林) 등 34 개 가문이 기록되어 있다. 특히 안동 권씨의 분량이 44쪽에 이르고 있어서 단연 타 성관에 비해 상세하게 기록되고 있음이 특징이다. 한편 결본된 책 원(元)권에는 이(李) 등의 성씨가 수록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형권 뒷부분에 전주 이씨 부분이 몇 장 낙질의 형태로 남아 있다.
『보휘(譜彙)』는 가로 24칸으로 나누고 각 성씨별로 계보를 기록하였다. 각 인물에 대해 과거와 관직, 그리고 처부 등을 기록하였다. 그리고 주요 인물에 대해서 지면을 할애하여 보다 상세하게 인물을 소개하고 있다.
서지적 가치
내용적 가치
『보휘(譜彙)』는 조선후기에 유행한 만성보(萬姓譜)이다. 만성보(萬姓譜)는 모든 성관의 혈통관계를 기록한 것이다. 만성보는 자기 집안의 족보뿐만 아니라 타 가문의 족보에 대한 지식을 말하는 보학(譜學)의 발전과 궤를 같이 한다. 만성보는 보학의 가장 기본적이고 효율적인 수단으로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만성보를 통하여 해당 가문의 내력을 알고 특정 인물의 가계 배경을 파악하였다. 족보의 진위를 분변하고 혼인 등을 위해 상대의 가계를 이해하고, 가문의 족보를 편찬하는 데에도 만성보를 활용하였다. 따라서 만성보는 각 문중에서 발간하는 족보에 비해 상세함이나 정확성이 떨어질 수는 있으나 어느 집안이건 그 계통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참고문헌
차장섭, 「조선시대 족보의 유형과 특징」, 『역사교육논집』44, 역사교육학회, 2010.
집필자 : 차장섭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