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분류

만언사

이미지 가+ 가-

자료UCI: RIKS+CRMA+KSM-WZ.0000.0000-20090715.RICH_051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 분류 고서-문집 | 교육/문화-문학/저술 | 집부-사곡류
· 작성주체 안조환(安肇煥, 1765-?) 찬
· 판종 필사본
· 발행사항 [발행지불명] : [발행처불명], [발행년불명]
· 형태사항 1冊(43張) : 無界, 12行字數不定, 無魚尾 ; 32.1 X 22.0 cm
· 주기사항 한글본임
表題: 萬言詞만언사
· 현소장처 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
· 청구기호 5973.3.4200

안내정보

『만언사』 필사본 1책은 안조원(安肇源, 1765-?)이 유배지에서 지은 가사 「만언사」를 비롯하여 「부모」, 「부」, 「처」, 「」, 「만언답셔」 등 안조원의 가사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만언사』는 현재 국내에 국립중앙도서관, 연세대 도서관, 서울대 규장각 등에 3종의 이본이 소장되어 있는데, 버클리대본은 가람문고본과 동일한 내용의 필사본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편저자사항
본서의 편찬자는 안조원(安肇源, 1765-?)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본(異本)에 따라 “안도원”, “안조환” 등으로 표기된 것들이 있다. 본서에는 “안도원”으로 되어 있다. 안조원의 자와 호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정조 때 대전별감을 지내다가 34세에 추자도로 유배를 가서 「만언사」를 창작했기 때문에 출생연대는 비교적 확실하다. 그러나 그 밖의 사항은 알려진 것이 없다. 「만언」, 「思父母」, 「思伯父」, 「思妻歌」, 「思子」, 「萬言答辭」 등 6편의 가사를 창작했는데, 작품명 또한 이본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이 작품이 서울에 전하여지자 궁녀들이 눈물을 흘리지 않는 이가 없었고, 이로 인하여 그는 곧 소환되었다는 일화가 있다.
구성 및 내용
버클리대본은 2,916구에 이르는 기존의 「만언사」와 크게 다르지 않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모」, 「부」, 「처」, 「」, 「만언답셔」 등 안조원의 모든 작품들이 함께 수록되었다. 이는 가람문고본 『만언사』와 유사한 구성이다. 그런데 「처」 이하는 제목이 작은 글씨로 가필(加筆)되어 있어, 편찬자가 이들 작품을 처음에는 구별하지 못한 상태로 필사한 것으로 보인다. 제목의 “万言詞”를 제외하면 한자 표기 없이 모두 한글로만 이루어져 있는데, 이 역시 가람문고본과 상통한다. 필사를 마치고난 여백에 간략한 작품해설을 덧붙인 점이 독특하다.
서지적 가치
『만언사』는 현재 국내에 국립중앙도서관, 연세대 도서관, 서울대 규장각 등에 3종의 이본이 소장되어 있다. 버클리대본은 『만언사』의 이본 가운데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가람문고본과 동일한 내용의 필사본으로 추정된다. 가람문고본과의 자구(字句)상의 차이를 보다 정확하게 검토하여 밝혀야 할 필요성이 있긴 하지만, 현재로선 거의 일치(一致)하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할 듯하다.
내용적 가치
『만언사』는 유배가사의 대표작으로서 구구한 변명을 늘어놓지 않고 자신의 잘못을 시인하고 임금에게 용서를 빈다는 점이 그 특징으로 알려져 왔다. 유배가사로서는 드물게 솔직담백한 정서와 진솔한 표현이 드러나 있는 것이다. 본서 역시 기존에 알려진 『만언사』와 크게 다르지 않은 내용으로서 이와 같은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참고문헌
이상보, 「만언사 교주」, 『자유문학』 4-5월호, 자유문학사, 1959.
정익섭, 「유배문학 소고-가사작품을 중심으로」,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구당, 1963.
윤형덕, 『유배가사의 연구-만언사를 중심으로-』, 합동교촌공사, 1977.
임기중, 『조선조의 가사』, 성문각, 1979.
집필자 : 서철원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