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분류

1862년 면주전(綿紬廛) 대왕가례차지초책(大王嘉禮次知草冊)

이미지+텍스트 가+ 가-

자료UCI: RIKS+CRMA+KSM-XG.1862.0000-20170331.KY_X_080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 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차하기 | 경제-회계/금융-차하기
· 작성시기 임술 자팔월 초구일(1862)
· 형태사항 30張 | 종이 | 한자
· 현소장처 일본 경도대학 가와이문고
· 청구기호 800

안내정보

이 책은 1862년 8월 9일부터 11월 28일까지 대왕의 혼인과 관련하여 면주전에 할당된 업무를 맡은 대왕가례차지가 각종 지출 내역 등을 1차로 정리한 것이다. 그런데 이 책이 어느 왕의 혼인과 관련된 내용인지 알 수 없다.
이 책은 전체 내용을 크게 各色水吐紬措備秩, 錢文捧上秩, 錢文用下秩, 尙房進排秩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各色水吐紬措備秩에서는 백수주부터 남수주, 태홍토주, 자적토주 등 다양한 수토주를 마련한 방법과 수량을 기록하였다. 대방 등에서 보유하고 있거나 각방에서 매득하는 방식으로 마련하였다. 전문봉상질은 항목은 있으나 비어 있다. 초책이기 때문에 아직 정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전문용하질은 가례차지들이 각종 수토주를 마련하면서 지출한 내역과 액수를 기록한 것이다. 각종 토주를 염색하는 데 필요한 공전, 매득한 토주의 수량이 기록되어 있다. 상방진배질은 가례차지들이 실무를 진행하면서 지출한 내역과 액수를 기록한 것이다. 각종 비용으로 951냥, 인정으로 161냥 7전 5푼이 지출되었다. 아울러 진배 이후 다시 돌려받은 양도 수토주의 종류에 따라 정리하였다.

상세정보

이 책은 1862년 8월 9일부터 11월 28일까지 대왕의 혼인과 관련하여 면주전에 할당된 업무를 맡은 대왕가례차지가 각종 지출 내역 등을 1차로 정리한 것이다. 책의 겉면에는 "壬戌八月初九日以十一月二十八日至 大王嘉禮次知艸冊"으로 되어 있다. '가례'는 국왕 혼례의 높임말이고 '차지'는 순수한 우리말로 '(어떤 실무를) 맡은 이'라는 의미이다. 이 책의 제목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 이 책은 국왕 혼례 때 실무를 맡은 이의 기록이라는 의미이다. 그런데 1862년은 철종 재위 기간이고, 이때 철종이 혼인했다는 기록이 없다. 때문에 이 책이 어느 왕의 혼인과 관련된 내용인지 알 수 없다.
이 책은 전체 내용을 크게 各色水吐紬措備秩, 錢文捧上秩, 錢文用下秩, 尙房進排秩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各色水吐紬措備秩에서는 백수주부터 남수주, 태홍토주, 자적토주 등 다양한 수토주를 마련한 방법과 수량을 기록하였다. 대방 등에서 보유하고 있거나 각방에서 매득하는 방식으로 마련하였다.
전문봉상질은 항목은 있으나 비어 있다. 초책이기 때문에 아직 정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전문용하질은 가례차지들이 각종 수토주를 마련하면서 지출한 내역과 액수를 기록한 것이다. 각종 토주를 염색하는 데 필요한 공전, 매득한 토주의 수량이 기록되어 있다.
상방진배질은 가례차지들이 실무를 진행하면서 지출한 내역과 액수를 기록한 것이다. 각종 토주의 진배 내역 뿐 아니라 장방 등에게 바친 인정, 가례차지들의 식대 등 다양한 지출 내역이 기록되어 있다. 각종 비용으로 951냥, 인정으로 161냥 7전 5푼이 지출되었다. 아울러 진배 이후 다시 돌려받은 양도 수토주의 종류에 따라 정리하였다.
집필자 : 이욱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