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분류

1865년 면주전(綿紬廛) 형록책(刑錄冊)

이미지+텍스트 가+ 가-

자료UCI: RIKS+CRMA+KSM-XG.1865.0000-20170331.KY_X_080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 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차하기 | 경제-회계/금융-차하기
· 작성시기 을축 정월 일(1865)
· 형태사항 102張 | 종이 | 한자
· 현소장처 일본 경도대학 가와이문고
· 청구기호 806

안내정보

이 장부는 1865년 1월부터 1890년 12월까지 25년 동안 면주전에서 관련 관청 수리 및 각종 부의 등으로 지출한 내역을 날짜별로 기록한 것이다. 군데군데 지출내역이나 지출액 부분에 붉은 색으로 표시한 부분이 있다. 계산의 오류를 확인한 것으로 보인다.
장부의 구성은 일지 형식으로 되어 있다. 지출하는 내역을 살펴보면, 한성부, 한성부 중부, 나례청, 尙房, 별례방 등 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관청의 수리 비용을 지원하는 경우가 많다. 해당 관청 서리들의 탁족, 부역에 대한 경비 지원, 경조사의 부의 비용 등으로 지출하기도 하였다. 또 전옥서에 오랫동안 갇힌 죄수에 대한 부조도 연례 행사처럼 지원하고 있다. 이외에 소속 상인들의 질병이나 애경사 등에도 경비를 지원하고 있다.

상세정보

이 장부는 1865년 1월부터 1890년 12월까지 25년 동안 면주전에서 관련 관청 수리 및 각종 부의 등으로 지출한 내역을 날짜별로 기록한 것이다. 군데군데 지출내역이나 지출액 부분에 붉은 색으로 표시한 부분이 있다. 계산의 오류를 확인한 것으로 보인다. 제목에 "刑錄"으로 되어있는데, 그 구체적인 의미를 알 수 없다.
장부의 구성은 일지 형식으로 되어 있다. 지출 내역을 보면 의례적인 지출인 경우에는 지출처와 액수만 기록되어 있다. 반면 의례적이지 않을 경우에는 '僉位公論'과 같이 회의를 거쳐 지출을 결정하는 사례가 보인다. 예를 들어 '儺例廳'의 목재를 수리할 때 1냥을 지원한 경우에는 '儺例廳木物修補單壹兩'로만 기록하였다. 반면 중부의 청사를 수리할 때 1냥을 지급해야 할 때는 '첨위공론'이라는 주가 붙어있다.
지출하는 내역을 살펴보면, 한성부, 한성부 중부, 나례청, 尙房, 별례방 등 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관청의 수리비용을 지원하는 경우가 많다. 해당 관청 서리들의 탁족, 부역에 대한 경비 지원, 경조사의 부의 비용 등으로 지출하기도 하였다. 또 전옥서에 오랫동안 갇힌 죄수에 대한 부조도 연례행사처럼 지원하고 있다. 이외에 소속 상인들의 질병이나 애경사 등에도 경비를 지원하고 있다.
어느 기록을 보면 관청에서 지원을 요청하는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어 중부 장방 청사 수리비용으로 면주전에서는 매 년를 수리할 때 1냥씩을 지원하고 있었다. 그런데 중부에서 대대적으로 청사를 수리하면서 막대한 비용이 필요하자, 면주전에 공문을 보내 14년치를 미리 지급해줄 것을 요청하였다. 면주전에서는 대회를 열어 회의를 한 다음 다른 시전의 사례에 따라 먼저 지급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지출의 경우 말미에 확인하는 의미의 도장을 날인하고 있다.
집필자 : 이욱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