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Concentrated Research
> 지리서
지리서
-
풍수의 특징
풍수(風水)는 인간이 자연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생활방식을 터득하는 데서 시작되었다. 문명이 발전하기 전부터 인간은 자연환경을 경험하고 합리적인 생활방식을 터득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택(相宅)이라는 부분이 부각되면서 풍수가 시작되었다. 중국을 비롯한 한반도에서는 겨울철 차가운 북서풍을 견디어야 하는 대륙성 자연환경이 문제시 되었다.
-
한국의 고지도
고지도(혹은 옛지도)는 근대적 제작방식을 채택하지 않은 전통시대 지도를 말한다. 우리 역사에서 근대적 측량에 의해 지도가 작성되기 시작한 것은 1900대에 들어서면서부터였다. 이 시점이 우리나라 근대지도의 상한선이자, 고지도의 하한선이다.
-
한국의 지리지
현대적인 의미에서 지리서가 지역의 자연지리적, 인문지리적 특성을 정리한 책이라고 한다면, 전통시대 지리지(地理志)에도 그런 측면이 전혀 없지는 않다. 지리지는 땅 혹은 지리 지식에 관한 기록을 가리키기도 하고, 특정 지역의 지리정보와 지리현상에 대한 종합적인 기록을 뜻하기도 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