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집중연구 > 고문서

1889년 윤병수(尹秉綬) 고신(告身)

가+ 가-

윤병수(尹秉綬 1850-?)는 조선말기 및 대한제국기의 문신으로, 1905년에 상소를 올려 을사조약을 체결한 박제순(朴齊純) 등의 대신(大臣)들이 나라를 팔아서 일본과 협상조약을 맺었다고 호소하며 이들에 대한 처벌을 건의한 인물이다.
윤병수(尹秉綬 1850-?)는 조선말기 및 대한제국기의 문신으로, 1905년에 상소를 올려 을사조약을 체결한 박제순(朴齊純) 등의 대신(大臣)들이 나라를 팔아서 일본과 협상조약을 맺었다고 호소하며 이들에 대한 처벌을 건의한 인물이다. 본 일련문서는 윤병수가 1888년(고종 25) 문과에 합격한 이듬해에 관직을 제수 받은 四品以上告身 4건이다.
1889년 윤병수(尹秉綬) 고신(告身)
[承政院日記]를 통해 윤병수의 관력을 대략 살펴볼 수 있다. 그는 成均館의 生員으로 있었고, 문과에 급제하기 전에도 관직을 역임하고 있었다. 즉 1880년(고종 17)~1881년(고종 18)에는 世子翊衛司 右洗馬, 및 司饔院 奉事, 1884년는 繕工監 監役, 1886년 中部 都事와 機器局 司事, 1888년(고종 25)에는 繕工監 主簿, 世子翊衛司 左司禦을 거쳤다. 주로 世子翊衛司의 관직에 재직중인 기간이 길었다.
1888년(고종 25) 8월에는 문과 별시에 丙科로 급제하였고, 같은 달 국왕의 명령에 따라 司諫院 正言에 特除되었다. 1888년 11월 12일에는 弘文錄에 선발되어, 같은 달 16일에 弘文館 副校理 제수되었다. 이어서 1889년에는 2월에 摠禦營의 軍司馬에 제수되었다.
이후 1889년에 발급된 4건의 告身을 통해 제수된 벼슬은 다음과 같다. 3월은 通訓大夫(정3품 당하) 宗親府 正, 4월은 通訓大夫 弘文館 副修撰, 8월은 通訓大夫 弘文館 副應敎, 9월은 兼南學敎授이다. [承政院日記]에 의하면 이 가운데 弘文館 副修撰과 副應敎를 제수했을 때는 윤병수(尹秉綬) 본인이 淸道 木川에 있어서 공무를 보지 못하고 체직되었다. 홍문관 관직을 받았을 때는 모두 經筵官을 규례에 따라 겸직하고 있고, 春秋館의 사관직도 겸직하고 있다.
이어서 文武官 四品以上告身의 양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문서의 첫 행에는 王命문서의 성격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敎旨'라는 문구가 기재된다. 이어서 문서 본문에는 수취자의 人名과 제수받는 官階, 官職을 기재한다. 기재 순서는 '人名+爲+品階(資級의 단계)+品職(職事의 단계)+者'와 같은 방식이다. 이때 관계가 관직보다 높을 때(階高職卑)는 '行'字를, 관계가 관직보다 낮을 때(階卑職高)는 '守'字를 관직명 앞에 기재하였다.
발급일자는 가장 좌측에 표기하는데, 연도 부분에는 중국(곧 明・淸)의 年號가 기록되었다. 이것은 『經國大典』에서는 명시되지 않은 것이었지만 『典律通補』 別編, 「文武官四品以上告身式」에서 '年號左旁'이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연도의 부분에 연도가 연호로 기록됨을 밝혀주고 있다. 연도 다음으로는 월과 일이 기록된다. 그리고 년과 월 사이에는 인 施命之寶를 안보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일반 고신의 경우 대개 명·청의 연호를 사용하거나 대한제국 수립 이후에는 대한제국 연호인 光武를 사용하였는데 여기서는 간지를 통해 연도를 표기하고 있다.
정조대에 편찬된 『典律通補』는 이러한 『經國大典』의 문서식에 비해 좀 더 상세한 규정을 싣고 있다. 우선 행 높이에 대해서는 우선, 연월일의 年시작 위치가 '敎旨'와 같게 작성되도록 시작위치를 표기하고 있다. 곧, '敎'字 아래와 '年'字 아래에 '中行'이라 하고 본문의 시작인 '某'字 아래에 '平行'이라는 기록을 추가하여 '敎旨'와 연호의 시작위치가 『經國大典』과는 달리 같게 작성되고 있음을 표시하였다. 다음으로 연호 옆에 기재되는 小字傍書에 대해서는 '仍任則年號左旁 低一字 書仍任事承傳 加資同 但書某事加資事'라고 하여 仍任과 加資의 경우에 연호 좌방에 한 자를 내려서 '仍任事承傳', '某事加資事承傳'과 같이 그 사유를 기록하도록 명시하였다.

순서

자료명

발급

수취

1

1889년 윤병수(尹秉綬) 고신(告身)

국왕(國王)

윤병수(尹秉綬)

2

1889년 윤병수(尹秉綬) 고신(告身)

국왕(國王)

윤병수(尹秉綬)

3

1889년 윤병수(尹秉綬) 고신(告身)

국왕(國王)

윤병수(尹秉綬)

4

1889년 윤병수(尹秉綬) 고신(告身)

국왕(國王)

윤병수(尹秉綬)

※ 참고문헌
유지영, 『朝鮮時代 任命文書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