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집중연구 > 고문서

한성부 어의동 가사·가대 매매 관련문서

가+ 가-

본 문서는 1655년부터 1733년까지 한성부(漢城府) 동부(東部) 어의동(於義洞) 일대의 가대(家垈)를 매매(賣買)하는 가대매매명문(賣買明文)이다.
본 문서는 1655년(효종 6)부터 1733년(영조 9)까지 한성부(漢城府) 동부(東部) 어의동(於義洞) 일대의 가대(家垈)를 매매(賣買)하는 가대매매명문(賣買明文)이다. 가대매매란 곧 집터의 매매를 뜻한다. 어의동 일대의 매매명문은 총 4구역에서 각각 이루어졌다. 1번 그룹은 1655년에 충순위(忠順衛) 정찬서(鄭纘緖)와 신생원댁(申生員宅) 노(奴) 응생(應生)간의 가대매매문서이다. 2번 그룹은 1664년(현종 5)부터 1707년(숙종 33) 사이에 특정 구역의 가대매매이며 거래의 흐름을 볼 수 있다. 3번 그룹은 1672년(현종 13)부터 1680년(숙종 6) 사이에 특정 구역의 가대매매이다. 4번 그룹은 1733년에 이루어진 가대매매문서이다.
1655년 신생원댁(申生員宅) 노(奴) 응생(應生) 가대(家垈) 매매명문(賣買明文)
가사가 소재한 곳인 어의동은 문서에서 창신방(彰信坊) 혹은 창선방(昌善坊)으로 기록되어 있다. 1번 그룹의 문서에서는 창신방으로 되어있고 2~4번 그룹 문서에서는 창선방으로 되어있는데, 다른 자료에서 창신방이라는 명칭은 잘 찾아볼 수 없고 대부분의 지도에서 창선방을 더 자주 찾아볼 수 있다. 『한경지략(漢京識略)』에서는 어의동이 창선방 소속으로서 효종의 잠저인 용흥궁(龍興宮)이 있는 곳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그곳의 별칭은 하어의궁(下於義宮)으로 전해진다.
서울에서 가사매매와 관련된 업무는 한성부에서 담당했으며, 가사의 매매는 15일을 기한으로 하여 그 기한이 지나면 고치지 못하고, 모두 100일 안에 관에 보고하여 입안(立案)을 받아야 했다. 관에서 발급해주는 입안은 곧 사급입안(斜給立案)이라고 하며, 여기에는 입안을 신청하는 소지(所志)와 발급자, 증인‧필집의 초사(招辭)가 함께 전달되었다. 이 명문에서 보이는 패자(牌子)는 패지(牌旨)라고도 하며, 위계상 고위에 위치한 사람이나 관청에서 하위단계에 어떤 일에 대한 이행을 지시하는 문서로서 그 작성 방식이 문서의 성격에 따라 매우 다르다. 이 명문에서 본문기와 함께 전달되는 패자는 전답 등을 매매할 때 상전이 자신의 노비에게 해당 매매 행위를 대행시키면서 작성해 준 문서이다.
어의동 가대매매 문서로 알 수 있는 내역은 다음과 같다. 첫째, 2번 그룹에 기록된 사표(四標 : 사방의 경계를 알리는 표)를 통해 2번과 3번 그룹의 거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2번 그룹 중 1664년의 매매명문에서 사표는 동쪽 허참봉(許參奉) 집터-서쪽 백생원(白生員) 집터-남쪽 길-북쪽 이갑산(李甲山) 집터로 표시되어있고, 1676년의 매매명문에는 동쪽 허참봉 집터-서쪽 덕향(德香) 집터-남쪽 길-북쪽 신생원(申生員) 집으로 되어있다. 이 중 서쪽 집터의 주인인 덕향은 3번 그룹의 1672년 가대매매명문에 등장한다. 이 명문은 백시만(白時晩)이 이덕향(李德香)에게 방매(放賣)한 문서로서, 1664년에 그 구역의 주인이었던 생원 백시만이 1672년에 이덕향과 매매를 진행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2번 그룹 중 1681년(숙종 7)과 1707년의 매매명문에서 다시 한 번 서쪽 구역의 주인이 바뀐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지역의 거래 상황은 3번 그룹 중 1680년(숙종 6)에 이덕향과 신도사댁(申都事宅) 노(奴) 애신(愛信)의 거래 명문으로 확인할 수 있다. 1672년에 주인이 된 이덕향이 1680년에 신도사 댁에 집터를 방매한 것이다. 그런데 2번 그룹의 1681년 명문에서는 이영남(李永男)이 매매하는 구역의 사표 중 서쪽의 주인을 덕향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는 이영남이 덕향과 신도사 댁의 거래를 인지하지 못했거나 혹은 거래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오류를 범했던 것으로 보인다. 매매문기에 기록된 사표를 통해 2번 그룹의 주인이 안만성-신회-이영남-김진사-신생원으로 변화했고, 3번 그룹의 주인은 백시만-이덕향-신도사로 변화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둘째, 거래에 사용된 화폐 단위의 변화를 알 수 있다. 1655년부터 1681년까지는 정은자(正銀子 : 순수한 은), 은자(銀子)를 사용하고 있는데, 1700년대부터는 동전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조선에서 유통되었던 은의 양이 줄어들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화폐 말고 비슷한 가치의 땅으로 거래를 진행한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거래의 문서는 상환명문(相換明文)으로 칭하며 3번 그룹 중 1680년의 거래에서 확인된다.

그룹

순서

자료명

발급

수취

 

1

1

1655년 신생원댁(申生員宅) 노(奴) 응생(應生) 가대(家垈) 매매명문(賣買明文)

충순위(忠順衛) 정찬서(鄭纘緖)

노(奴) 응생(應生)

2

1655년 재주(財主) 정찬서(鄭纘緖) 초사(招辭)

충순위(忠順衛) 정찬서(鄭纘緖)

-

3

1655년 증인(證人) 손득립(孫得立)․신성회(申性海) 필집(筆執) 고이명(高以明) 초사(招辭)

전첨정(前僉正) 손득립(孫得立)

전봉사(前奉事) 신성회(申性海)

유학(幼學) 고이명(高以明)

-

4

1655년 신생원댁(申生員宅) 노(奴) 응생(應生) 가대매매(家垈賣買) 사급입안(斜給立案)

한성부(漢城府) 판윤(判尹)

노(奴) 응생(應生)

 

2

1

1664년 안생원댁(安生員宅) 노(奴) 수영(守永) 가대(家垈) 매매명문(賣買明文)

홍조이(洪召史)

노(奴) 수영(守永)

2

1664년 안생원(安生員) 노(奴) 수영(守永) 입안신청 소지(所志)

노(奴) 수영(守永)

한성부(漢城府) 판윤(判尹)

3

1664년 재주(財主) 곽계종(郭繼宗) 처(妻) 홍조이(洪召史) 초사(招辭)

홍조이(洪召史)

-

4

1664년 증인(證人) 사노(私奴) 상이(祥伊), 필집(筆執) 장사랑(將仕郞) 이성(李晟) 초사(招辭)

증인(證人) 사노(私奴) 상이(祥伊)

필집(筆執) 장사랑(將仕郞) 이성(李晟)

-

5

1664년 안생원(安生員) 노(奴) 수영(守永) 가대매매(家垈賣買) 사급입안(斜給立案)

한성부(漢城府) 판윤(判尹)

노(奴) 수영(守永)

6

1675년 유학(幼學) 신회(申澮) 가대(家垈) 매매명문(賣買明文)

유학(幼學) 안만성(安晩成)

유학(幼學) 신회(申澮)

7

1675년 유학(幼學) 신회(申澮) 입안신청   소지(所志)

유학(幼學) 신회(申澮)

-

8

1675년 재주(財主) 유학(幼學) 안만성(安晩成) 초사(招辭)

유학(幼學) 안만성(安晩成)

-

9

1675년 증인(證人) 유학(幼學) 김필원(金弼垣) 사과(司果) 허선(許墠) 초사(招辭)

증인(證人) 유학(幼學) 김필원(金弼垣)

증인(證人) 사과(司果) 허선(許墠)

-

10

1675년 유학(幼學) 신회(申澮) 가대매매(家垈賣買) 사급입안(斜給立案)

한성부(漢城府) 판윤(判尹)

유학(幼學) 신회(申澮)

11

1676년 노(奴) 오일(五日) 패지(牌旨)

상전(上典) 신(申)

노(奴) 오일(五日)

12

1676년 양인(良人) 이영남(李永男) 가대(家垈) 매매명문(賣買明文)

노(奴) 오일(五日)

양인(良人) 이영남(李永男)

13

1676년 이영남(李永男)  입안신청 소지(所志)

이영남(李永男)

한성부(漢城府) 판윤(判尹)

14

1676년 재주(財主) 신생원댁(申生員宅) 노(奴) 오일(五日) 초사(招辭)

노(奴) 오일(五日)

-

15

1676년 증인(證人) 고삼남(高三男) 정응룡(鄭應龍) 필집(筆執) 최효립(崔孝立) 초사(招辭)

증인(證人) 고삼남(高三男)

증인(證人) 정응룡(鄭應龍)

필집(筆執) 최효립(崔孝立)

-

16

1676년 이영남(李永男) 가대매매(家垈賣買) 사급입안(斜給立案)

한성부(漢城府) 판윤(判尹)

이영남(李永男)

17

1681년 김진사댁(金進士宅) 노(奴) 검돌(黔乭) 가대(家垈) 매매명문(賣買明文)

이영남(李永男)

노(奴) 검돌(黔乭)

18

1681년 재주(財主) 이영남(李永男) 초사(招辭)

이영남(李永男)

-

19

1681년 증인(證人) 실량(實良), 박후원(朴厚元) 필집(筆執) 이사웅(李士雄) 초사(招辭)

증인(證人) 실량(實良)

증인(證人) 박후원(朴厚元)

필집(筆執) 이사웅(李士雄)

-

20

1681년 김진사댁(金進士) 노(奴) 검돌(黔乭) 사급입안(斜給立案)

한성부(漢城府) 판윤(判尹)

노(奴) 검돌(黔乭)

21

1707년 노(奴) 해건(亥建) 패지(牌旨)

상전(上典) 홍(洪)

노(奴) 해건(亥建)

22

1707년 신생원댁(申生員宅) 노(奴) 오일(五日) 가대(家垈) 매매명문(賣買明文)

노(奴) 해건(亥建)

노(奴) 오일(五日)

 

3

1

1672년 이덕향(李德香) 가대(家垈) 매매명문(賣買明文)

유학(幼學) 백시만(白時晩)

이덕향(李德香)

2

1673년 이덕향(李德香) 입안신청 소지(所志)

이덕향(李德香)

-

3

1673년 재주(財主) 유학(幼學) 백시만(白時晩) 초사(招辭)

유학(幼學) 백시만(白時晩)

-

4

1673년 증인(證人) 이종길(李宗吉) 초사(招辭)

증인(證人) 이종길(李宗吉)

-

5

1673년 이덕향(李德香) 가대매매(家垈賣買) 사급입안(斜給立案)

한성부(漢城府) 판윤(判尹)

이덕향(李德香)

6

1680년 사노(私奴) 애신(愛信) 가대(家垈) 상환명문(相換明文)

이덕향(李德香)

사노(私奴) 애신(愛信)

7

1680년 신도사댁(申都事宅) 노(奴) 애신(愛信) 입안신청 소지(所志)

노(奴) 애신(愛信)

한성부(漢城府) 판윤(判尹)

8

1680년 재주(財主) 이덕향(李德香) 초사(招辭)

이덕향(李德香)

-

9

1680년 증인(證人) 김어둔(金於屯), 탁승종(卓承宗) 필집(筆執) 김신립(金信立) 초사(招辭)

증인(證人) 김어둔(金於屯)

증인(證人) 탁승종(卓承宗)

필집(筆執) 김신립(金信立)

-

10

1680년 신도사댁(申都事宅) 노(奴) 애신(愛信) 가대(家垈) 사급입안(斜給立案)

한성부(漢城府) 판윤(判尹)

노(奴) 애신(愛信)

 

4

1

1733년 차노(差奴) 업선(業先) 패지(牌旨)

상전(上典) 신(申)

차노(差奴) 업선(業先)

2

1733년 김서방댁(金書房宅) 노(奴) 유청(有淸) 가대(家垈) 매매명문(賣買明文)

노(奴) 업선(業先)

노(奴) 유청(有淸)

3

1733년 재주(財主) 신생원(申生員) 노(奴) 업선(業先) 초사(招辭)

노(奴) 업선(業先)

-

4

1733년 증인(證人) 김정희(金鼎熙), 이태성(李泰成) 필집(筆執) 윤명대(尹命大) 초사(招辭)

증인(證人) 김정희(金鼎熙), 이태성(李泰成)

필집(筆執) 윤명대(尹命大)

-

※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한경지략(漢京識略)』
양진석, 「조선후기 漢城府 中部 長通坊 丁萬石契 소재 가옥의 매매와 그 특징」 『규장각』 32, 2008.
고동환, 「조선후기 漢城府 행정편제의 변화 - 坊‧里‧洞‧契의 변동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11,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