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집중연구 > 고문서

1872~1901년 양근(陽根) 북면(北面) 지역 토지매매 문서

가+ 가-

이 문서들은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까지 양근군(楊根郡) 북면(北面)지역의 토지매매와 관련한 문서로서 ①1872년 노(奴) 흥득(興得)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②1872년 전만복(全萬福)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③1874년 강순석(姜順石)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④1881년 노(奴) 천복(千福)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⑤1901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⑥1904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등 총 6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명문(明文)은 전답이나 노비 등 개인의 소유 재산을 거래할 때 내역을 정리해주는 문서를 말한다.
이 문서들에서 토지가 거래되는 지역인 북면은 경기도 양근군에 소재하였다. 양근군은 현재의 양평군(楊平郡)으로 남한강과 북한강이 합류되는 지점에 위치하여 수자원이 풍부하고 수상교통에 유리한 곳이었다. 그 중에서도 북면은 북한강 쪽으로 위치하여 가평군과 인접한 곳이었다. 이 문서들은 조선후기 지방군현에서 토지 매매 방식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①번 문서는 1872년 8월 노 흥득이 홍옥구(洪沃溝)에게 북면 소설동(小雪洞)의 토지를 사면서 발급된 매매명문이다. 명문에는 토지의 위치, 자호(字號), 면적 등 토지에 대한 제반사항과 매도자와 매수자, 그리고 증인의 이름, 매매가격, 판매 사유 등이 표기되었다. 이 문서에서 홍옥구는 다른 곳의 토지를 구입하기 위해 흥득에게 답(畓) 9마지기를 전문(錢文) 400냥에 판매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②번 문서는 1872년 12월 흥득이 4개월 전 매득한 소설동의 답 9마지기를 전만복(全萬福)에게 360냥에 매매하면서 발급한 매매명문이다. 문서의 형식은 ①번 문서와 동일하며 판매 사유는 긴요하게 쓸 곳이 있어서라고 밝히고 있다. 홍득은 불과 4개월 만에 40냥의 손해를 보고 토지를 매도하였다. ③번 문서는 1874년 전만복이 강순석(姜順石)에게 토지를 매매하면서 발급해준 매매명문이다. 매매가는 2년 전 구매한 가격과 동일한 360냥이었다. ④번 문서는 1881년 강순석이 천복(千福)에게 수년전 매득한 토지를 매도하면서 발급해준 매매명문이다. 7년의 시간이 지났음에도 토지의 매매가격은 360냥으로 동일했다. ⑤번 문서는 1901년 이상규(李象圭)가 이기영(李基英)에게 소설동 및 인근 토지를 매도하면서 발급해준 매매명문이다. 매매가격은 34,600냥이었는데, 토지가격이 이전 시기와 큰 차이가 나는 것은 갑오개혁과 광무개혁 등 여러 차례 재정개혁을 거치면서 화폐의 종류와 가치가 변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전 시기의 결제수단이었던 전문(錢文)과 같은 기준으로 비교하기는 어렵다. ⑥번 문서는 1904년 하판사댁(河判事宅) 노(奴)가 ⑤번 문서의 토지를 매매하면서 발급한 매매명문이다. 매매가격은 동일하게 34,600냥이었다. ⑤번 문서와의 사이에 추가적인 소유권 변동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현재 문서들에서는 확인이 불가능하다. ⑤번 문서와 비교했을 때 초가(草家)의 규모와 가대도(家垈賭)에서 약간의 변동이 있지만, 나머지는 모두 동일하다.
1872년 노(奴) 흥득(興得)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이 문서들은 19세기 후반 지방사회에서 토지매매 방식과 토지가격 변동사항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여기서는 매매의 결제수단으로 동전이 사용되었다는 점과 토지매매를 할 때 해당 토지 내에 있는 초가(草家)와 각종 나무들도 포함되었다는 사실이 주목된다. 또한 비교적 짧은 기간에 잦은 매매가 이루어졌다는 점과 약 10년의 시간이 지나는 동안에도 매매가격에 큰 변동이 없다는 점은 특기할 점이다. 동일 토지에 대한 장기적인 매매 동향을 살필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문서의 목록과 발급자, 수취자를 정리한 내용은 아래의 표와 같다.

순서

자료명

발급

수취

1

1872년 노(奴) 흥득(興得)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홍옥구(洪沃溝)

흥득(興得)

2

1872년 전만복(全萬福)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흥득(興得)

전만복(全萬福)

3

1874년 강순석(姜順石)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전만복(全萬福)

강순석(姜順石)

4

1881년 노(奴) 천복(千福)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이순석(李順石)

천복(千福)

5

1901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이상규(李象圭)

이기영(李基英)

6

1904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하판사댁(河判事宅) 노(奴)

-

※ 참고문헌
김세민, 「조선후기 廣州의 토지매매문서 연구」, 『향토서울』 84, 서울특별시 시사편찬위원회, 2013.
이정수ㆍ김희호, 「조선후기 경상도 지역 양반층의 토지소유규모와 지가의 변동」, 『역사와 경계』 77, 부산경남사학회, 2010.
정수환ㆍ이헌창, 「조선후기 求禮 文化柳氏家의 土地賣買明文에 관한 연구」, 『고문서연구』 33, 한국고문서학회, 2008.
집필자 : 임성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