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집중연구 > 고문서

1879~1893년 면주전 염수가초책

가+ 가-

이 장부들은 1879년에서 1893년까지 면주전에서 정부에 납품하는 면주에 대한 염색 비용의 수입과 지출 내역을 정리한 수가책이다. 해당 기간 모든 연도의 수가책이 남아있는 것이 아니라 중간중간 빠진 연도가 있다. 총 13개년의 20책의 장부가 남아있다. 수가책(受價冊)은 면주전 등이 정부에 면주를 진배한 이후 그 대가를 받은 시점에서의 입금액과 목적별 지출을 기록한 것이고,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이전의 장부가 초책(草冊)이다.
이 장부들은 1879년에서 1893년까지 면주전에서 정부에 납품하는 면주에 대한 염색 비용의 수입과 지출 내역을 정리한 수가책이다. 해당 기간 모든 연도의 수가책이 남아있는 것이 아니라 중간중간 빠진 연도가 있다. 가장 이른 시기인 ①번 장부는 1884년 5월의 염색비용을 정리한 것이고, 가장 늦은 시기인 ⑳번 장부는 1893년 11월의 염색비용 내역을 정리한 것이다. 이 중 ⑦번과 ⑧번 장부는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는데, ⑦번의 내용을 토대로 수입과 지출 내역으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 ⑧번이다. 총 13개년에 걸쳐 20책의 장부가 남아있다. 수가책(受價冊)은 면주전 등이 정부에 면주를 진배한 이후 그 대가를 받은 시점에서의 입금액과 목적별 지출을 기록한 것이고,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이전의 장부가 초책(草冊)이다. 이 장부는 이러한 수가책 중 진배한 면주의 염색 비용의 수입과 지출 내역을 정리한 것이다.
1879년 면주전(綿紬廛) 염수가초책(染受價草冊) 상(上)
면주전에서는 관청이나 궁방에 면주를 납품하거나 중국이나 일본 사신의 접대에 필요한 면주를 납품하였다. 이와 함께 납품하는 물품의 포장과 반입, 필요에 따라서는 면주를 염색하는 공정 역시 면주전이 담당하였다. 그리고 염색 공임도 단가가 정해져 있었다. 염색 공임으로 받은 비용은 염색에 들어간 원가와 각종 활동비와 인정 등으로 지출되었다. 그리고 남은 비용은 수주 염색 비용은 수주계(水紬契), 토주 염색 비용은 토주계(吐紬契)의 자본으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 장부에서는 진배한 면주를 수주와 토주로 분류하여 수입과 지출을 정리하고 있다. 아마도 수주와 토주의 담당 조직이 각각 수주계와 토주계로 나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염색 공임은 현목, 지초, 소목, 황회목 등에 대해서는 사용한 양을 원재료 그대로 지급받았다. 홍화 등은 쌀이나 하지목, 돈의 형태로 지급받았다. 쌀이나 하지목 등은 방매하여 화폐와 교환하였고, 현목 등은 다음의 염색에 사용하기 위해 수주계로 보내면 가격을 산정하여 해당 계에서 화폐로 지급했던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장부 마지막에는 염색 공임으로 받은 대금을 종류별로 정리하고 있다.

순서

자료명

발급

수취

1

1879년면주전(綿紬廛)염수가초책(染受價草冊)상(上)

-

-

2

1881년면주전(綿紬廛)염수가초책(染受價草冊)상(上)

-

-

3

1881년면주전(綿紬廛)염수가초책(染受價草冊)상(上)

-

-

4 

1882년면주전(綿紬廛)염수가초책(染受價草冊)상(上)

-

-

5

1883년면주전(綿紬廛)염수가초책(染受價草冊)

-

-

6

1884년면주전(綿紬廛)염수가초책(染受價草冊) 

-

-

7 

1884년면주전(綿紬廛)염수가초책(染受價草冊)

-

-

8

1884년면주전(綿紬廛)염수가초책(染受價草冊)

-

-

9

1884년면주전(綿紬廛)염수가초책(染受價草冊) 

-

-

10

1885년면주전(綿紬廛)염수가초책(染受價草冊)

-

-

11

1885년면주전(綿紬廛)염수가초책(染受價草冊)

-

-

12

1886년면주전(綿紬廛)염수가초책(染受價草冊)

-

-

13

1887년면주전(綿紬廛)염수가초책(染受價草冊)

-

-

14

1889년면주전(綿紬廛)염수가초책(染受價草冊) 

-

-

15

1890년면주전(綿紬廛)염수가초책(染受價草冊)

-

-

16

1891년면주전(綿紬廛)염수가초책(染受價草冊)

-

-

17

1892년면주전(綿紬廛)염수가초책(染受價草冊)

-

-

18

1893년면주전(綿紬廛)염수가초책(染受價草冊)

-

-

19

1893년면주전(綿紬廛)염수가초책(染受價草冊)

-

-

20

1893년면주전(綿紬廛)염수가초책(染受價草冊)

-

-

※ 참고문헌
고동환, 「개항전후기 시전상업의 변화 -綿紬廛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32, 2008.
須川英德, 「시전상인과 국가재정:가와이〔河合〕 문고 소장의 綿紬廛 문서를 중심으로」,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 경제체제론의 접근』(이헌창 엮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Owen Miller, 「시전-국가 간 거래와 19세기 후반 조선의 경제위기:綿紬廛을 중심으로」,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 경제체제론의 접근』(이헌창 엮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집필자 : 이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