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분류

1858년 면주전(綿紬廛) 관중차지 용하등록책(館中次知用下謄錄冊)

묶음해제 이미지+텍스트 가+ 가-

자료UCI: RIKS+CRMA+KSM-XG.1858.0000-20170331.KY_X_079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 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차하기 | 경제-회계/금융-차하기
· 작성주체 발급 : 윤명복(尹明福) , 전득윤(田得潤) , 백동의(白東漪) , 유운성(劉運誠) , 한수덕(韓守德) , 조정진(趙鼎鎭) , 장영기(張英基) , 박동순(朴東淳)
· 작성시기 무오 유월 일(1858)
· 형태사항 32장 | 종이 | 한자
· 현소장처 일본 경도대학 가와이문고
· 청구기호 796

연결자료 묶음해제

안내정보

이 책은 1858년 6월 면주전의 관중차지가 순원왕후 상에 조문 온 중국 사신의 접대 등과 관련해서 지출한 내역을 기록한 것이다. 이 책은 본문에서 지출 부분을 크게 還下秩, 貿銀秩, 錢文捧上秩, 用下秩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지출을 정리하기 전에 먼저 진배할 예단 총량과 그 구체적인 내역을 적었다. 면주전에서 진배해야 할 총량은 11통 40필이었다. 실제로는본색으로 8통 10필, 折銀으로 2통 40필을 진배했다고 정리하였다.
다음으로는 면주전 각방에서 진배한 예단량을 적었다. 환하질에서 각방에서 납품한 면주 중 퇴짜를 받은 3통 30필의 내역을 정리하였다. 이어 각방에 추가로 할당한 면주 수량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무은질은 은을 구입한 내역을 기록한 것이다. 관중차지는 566냥중의 은을 호조와 대방으로 504냥 2전중을 받았고 161냥 3전중을 구입하였다. 이 중 호조로부터 빌린 500냥은 반환하였다. 전문봉상질은 대방으로부터 지급받은 화폐 내역을 기록한 것이다. 대방은 기존에 수가했던 자금으로 총 1,241냥 2전 8푼을 관중차지에게 지급하였다. 용하질은 관중차지들이 실무를 진행하면서 지출한 내역과 액수를 기록한 것이다. 총 1,318냥 7전 4푼을 지출하여, 77냥 4전 8푼을 손해 본 것으로 정산했다.

상세정보

이 책은 1858년 6월 면주전의 관중차지가 순원왕후 상에 조문 온 중국 사신의 접대 등과 관련해서 지출한 내역을 기록한 것이다. 책의 겉면에는 "辛巳六月日館中次知用下謄錄冊"이라고 되어 있으며, 본문 첫 줄에 "今番大王大妃殿弔勅禮單"이라고 표현되어 있다. 여기서 대왕대비는 순조의 비인 순원왕후 김씨를 말한다. 그녀는 1857년 9월 승하하였다. 이 장부는 순원왕후 김씨의 상에 조문하러 중국 사신이 왔을 때 면주전에서 예단 납품과 관련된 지출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면주전으로서는 납품한 예단이 퇴짜 맞지 않도록 물건의 품질을 검수하는 서리 등과 적절한 관계를 맺을 필요가 있었다. 면주전에서 이러한 실무를 맡아 처리하는 이를 '관중차지'라고 하였다
이 책은 본문에서 지출 부분을 크게 還下秩, 貿銀秩, 錢文捧上秩, 用下秩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그리고 지출을 정리하기 전에 먼저 진배할 예단 총량과 그 구체적인 내역을 적었다. 면주전에서 진배해야 할 총량은 11통 40필이었다. 실제로는 상사에게 원예단 2통을 본색으로 지급하였다는 등의 구체적인 내역이 나오고, 마지막에 본색으로 8통 10필, 折銀으로 2통 40필을 진배했다고 정리하였다.
다음으로는 면주전 각방에서 진배한 예단량을 적었다. 그리고 환하질에서 각방에서 납품한 면주 중 퇴짜를 받은 3통 30필의 내역을 정리하였다. 이어 각방에 추가로 할당한 면주 수량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무은질은 은을 구입한 내역을 기록한 것이다. 관중차지는 566냥중의 은을 호조와 대방으로 504냥 2전중을 받았고 161냥 3전중을 구입하였다. 이 중 호조로부터 빌린 500냥은 반환하였다.
전문봉상질은 대방으로부터 지급받은 화폐 내역을 기록한 것이다. 대방은 기존에 수가했던 자금으로 총 1,241냥 2전 8푼을 관중차지에게 지급하였다.
용하질은 관중차지들이 실무를 진행하면서 지출한 내역과 액수를 기록한 것이다. 은자를 구입할 때 사용한 956냥 5전을 비롯해 면주전 각방이 진헌한 면주 대금, 관중차지의 활동비, 중사별감 등을 비롯한 관련 관료들에게 바친 은자 등의 상세한 내역이 기록되어 있다. 총 1,318냥 7전 4푼을 지출하여, 77냥 4전 8푼을 손해 본 것으로 정산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면주전으로 지급받을 것이다.
정산 이후 次知 尹明福, 任 白東漪, 田得潤, 任 韓守德, 劉運誠, 曹司 趙鼎鎭, 張英基, 朴東淳 등의 이름이 기록되어있다. 윤명복에서 유운성까지는 관중차지이고, 조정진에서 박동순는 조사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 중 실무를 보았던 이는 이름 앞에 임이라고 되어 있는 백동의, 한수덕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 장부는 다른 장부들과 달리 지출한 항목마다 확인하고 날인하지 않고, 은을 구입한 곳과 마지막에만 날인하였다. 대방이 최종 확인하였다.
집필자 : 이욱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