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분류

1901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묶음해제 이미지+텍스트 가+ 가-

자료UCI: RIKS+CRMA+KSM-XE.1901.4183-20170331.KY_X_13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 분류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작성주체 발급 : 이상규(李象圭)
· 작성지역 양근(楊根) 북면(北面) 소설동(小雪洞)
· 작성시기 광서 5(1901)
· 형태사항 1장 | 종이 | 한자
· 인장서명 1 (적색, 원형)
· 현소장처 일본 경도대학 가와이문고
· 청구기호 131

연결자료 묶음해제

안내정보

1901년(광무 5) 8월에 李象圭가 楊根 北面 小雪洞(현재 경기도 양평군) 등의 토지와 나무를 팔면서 발급한 賣買明文이다. 토지를 판매하는 사유는 '緊用處' 즉, 급히 필요한 곳이 있었기 때문이다. 거래 당자사 외에 標主 李基英, 保人 車駿, 筆執 崔俊石이 참여하였으며 거래 가격은 34,600냥이다.

상세정보

1901년(광무 5) 8월에 李象圭가 楊根 北面 小雪洞 등(현재 경기도 양평군)의 토지와 나무를 팔면서 발급한 賣買明文이다. 토지를 판매하는 사유는 '緊用處' 즉, 급히 필요한 곳이 있었기 때문이다. 거래목적물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와 매매가격은 다음과 같다.
󰋯소유경위 : 미상.
󰋯위치 : 楊根 北面 小雪洞 등(현재 경기도 양평군)
󰋯지목 및 면적 : 小雪洞-畓 2석3마지기, 田 6일경, 家垈賭所出 6석10마지기. 龍水谷-田 1일1식경. 城谷-田 1식경. 家垈賭 2석6마지기. 賭地 6석19마지기. 草家 19칸. 梨木 2주. 票木 4주. 雜果木 6주.
󰋯매매가격 : 時價 34,600냥.
문서에는 매득자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지 않은데, 매득자의 이름을 기재하지 않아도 매매명문을 소지한 것으로 토지에 대한 소유권을 인정받았기 때문에 매득자의 이름이 생략된 채로 매매명문이 작성되었다. 거래 당자사 외에 標主 李基英, 保人 車駿, 筆執 崔俊石이 참여하였다.
토지매매명문에서 토지를 기재할 때 소재지·字號·結負數·斗落只數 등으로 표기하게 되는데 밭의 경우에는 日耕數로써 표기한다. '半日耕', '一息耕' 등으로 표기하며, '1日耕'이란 하루 동안 경작해야 할 정도의 면적을 나타낸다. 禾利(수확이 예상되는 벼)의 절반을 추수 후에 내는 것이 분명함을 명시하였다.
조선시대 토지매매명문은 토지를 매매할 때 작성한 문기로 토지를 매매할 때에는 이전에 토지를 매매할 때 작성했던 문서인 本文記(또는 舊文記) 모두와 금번 매매 시 작성한 新文記를 함께 매수자에게 지급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매매할 때 반드시 매매 사유와 소재지, 매매 가격 등을 밝히고 관에 신고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나 제대로 준행되지 않았는데 본문기와 신문기를 매입자에게 모두 지급함으로써 소유권의 이전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 거래에서는 본문기는 典執(전당을 잡힘)당하였기 때문에 우선 신문기만을 지급한다고 밝히고 있다.
문서의 마지막에 'ㄱ'자를 길게 표시한 것은 '際'를 간략하게 적은 것으로 흔히 문서에서 물목을 나열한 다음 끝이라고 표시하는 것이다.
집필자 : 임영현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