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집중연구 > 고문서

1712-1745년 동십리(東十里) 돌곶이(石串) 지역 토지매매 문서

가+ 가-

이 문서들은 1712년(숙종 38)부터 1745년(영조 21)까지 동십리(東十里) 돌곶이(石串)의 토지매매와 관련한 문서로서 총 20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문서들은 1712년(숙종 38)부터 1745년(영조 21)까지 동십리(東十里) 돌곶이(石串)의 토지매매와 관련한 문서로서 ①1712년 내시(內侍) 김석명(金碩鳴)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②1712년 답주(畓主) 내시(內侍) 김여흥(金麗興) 함답(緘答), ③1712년 증인 내시(內侍) 김석빈(金碩彬) 등 함답(緘答), ④1712년 내시(內侍) 김석명(金碩鳴) 토지매매(土地賣買) 사급입안(斜給立案), ⑤1732년 변동지댁(卞同知宅) 노(奴) 귀재(貴才)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⑥1731년 차노(差奴) 염손(念孫) 패지(牌旨), ⑦1730년 변첨지댁(卞僉知宅) 노(奴) 귀재(貴才)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⑧1731년 재주(財主) 장내시(張內侍) 노(奴) 염손(念孫) 초사(招辭), ⑨1731년 증인 노(奴) 가금(加金) 필집 노한성(盧漢聖) 초사(招辭), ⑩1731년 변첨지(卞僉知) 노(奴) 귀재(貴才) 토지매매(土地賣買) 사급입안(斜給立案), ⑪1732년 변동지댁(卞同知宅) 노(奴) 귀재(貴才)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⑫1732년 노(奴) 호찬(虎贊) 패지(牌旨), ⑬1732년 변동지댁(卞同知宅) 노(奴) 귀재(貴才)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⑭1732년 노(奴) 수만(守萬) 패지(牌旨), ⑮1732년 변동지댁(卞同知宅) 노(奴) 귀재(貴才)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⑯1732년 노(奴) 개부리(介夫里) 패지(牌旨), ⑰1732년 변동지댁(卞同知宅) 노(奴) 귀재(貴才)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⑱1745년 재주(財主) 고(故) 변기화(卞箕和) 처(妻) 정부인(貞夫人) 김씨(金氏) 초사(招辭), ⑲1745년 증인 변만복(卞萬福) 필집 김광현(金光鉉) 등 초사(招辭), ⑳1745년 변필화(卞必和) 토지매매(土地賣買) 사급입안(斜給立案) 등 총 20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1712년 내시(內侍) 김석명(金碩鳴)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위 문서 중 명문(明文)은 토지매매가 완료되었을 때 토지주인이 구매자에게 작성해준 증명서이고, 소지(所志)는 토지매매 후 입안(立案)을 발급받기 위해 관아에 올리는 청원서이다. 함답(緘答)은 관아로부터 신문(訊問)을 받을 사람이 직접 출두하지 않고 서면(書面)으로 올리는 진술서를 말하며, 초사(招辭)는 관아에서 진술한 내용을 정리한 문서이다.
이 문서들에서 거래되는 토지는 모두 동십리 돌곶이에 소재하였다. 동십리는 조선후기 경기(京畿) 양주목(楊州牧)에 소속된 면(面)의 이름이었다. 동십리는 도성(都城)에서 동쪽으로 10리 정도 떨어져 있다는 의미로서 지금의 우이천(牛耳川)과 중랑천(中浪川) 일대에 해당했다. 동십리에 속한 돌곶이는 조선 경종(景宗)의 능(陵)인 의릉(懿陵)이 있는 곳으로 천장산(天藏山) 인근 지역이었다. 동십리면은 양주목 읍치에서 70리나 떨어져 있어서 도성과의 거리가 훨씬 가까웠다. 이로 인해 동십리에는 궁방과 중앙각사의 토지가 많이 소재하였고, 지역민들은 각종 잡역에도 자주 동원되었다. 또한 중앙정부의 관료나 도성(都城)에 거주하는 부자들도 도성 인접 지역인 이곳에 토지를 매입하여 경작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문서들은 도성(都城)에서 근무하는 내시(內侍)들과 일부 역관들이 동십리 지역의 토지를 매입하고 상속하는 정황을 잘 보여준다. 문서들은 성격에 따라 크게 4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상전(上典)이 노(奴)에게 토지 매매를 지시하면서 작성해준 패지(牌旨)로 ⑥·⑫·⑭·⑯번 문서가 있다. 패지 발급은 토지매매가 시작되는 첫 번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둘째, 토매매매가 성사되고 구매자에게 해당 사실을 증명해주는 명문(明文)인 ①·⑤·⑦·⑪·⑬·⑮·⑰번 문서가 있다. 셋째, 토지매매의 진위를 확인하기 위해 한성부에서 관련자의 진술을 받고 조사하는 함답(緘答)과 초사(招辭)로서 ②·③·⑧·⑨·⑱·⑲번 문서가 있다. 넷째, 토지를 매득한 후 관할 관청에서 해당 사실을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발급받은 입안(立案)인 ④·⑩·⑳번 문서가 있다. 입안(立案)을 받는 것은 토지매매의 마지막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 문서들을 통해 알 수 있는 동십리 돌곶이 지역의 토지매매 특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돌곶이 일대에 왕실에서 근무하는 내관(內官)들이 다수의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왕실에서 계속 근무해야 하는 내관(內官)들에게 도성 인근 동십리 지역은 재산을 관리하기에 최적의 장소였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후사를 가질 수 없던 이들은 양자(養子)를 통해 매입한 토지를 상속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18세기 초반 역관(譯官)이었던 변기화(卞箕和)가 이 지역 토지를 대량으로 매득하던 정황을 볼 수 있다. 변기화는 왜학(倭學)으로 역과(譯科)에 합격한 인물로서 토지를 집중적으로 매득하는 시점에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로 활동하고 있었다. 그의 아버지 변삼석(卞三錫)도 한학(漢學)으로 역과에 합격한 역관이었으며, 이후에 친형의 토지를 매입하는 변필화(卞必和) 역시 한학(漢學)을 전공한 역과(譯科) 출신의 역관이었다. 조선 후기 중개무역을 통해 많은 부를 축적한 역관들이 토지를 매입하여 재산을 경영하던 모습을 잘 보여주는 문서이다. 특히 초계(草溪) 변씨(卞氏) 가문은 역관으로서 많은 부를 이룬 것으로 유명했다. 예컨대 18세기 초반 한양 최고 부자로 알려진 역관 변승업(卞承業)도 초계 변씨 집안이었다. 본 문서에서 변기화는 돌곶이 일대에 논 116.5마지기와 밭 3.5일경을 소유하고 있다가 정은자(丁銀子) 1,100냥을 받고 친동생인 변필화에게 팔았다. 마지막으로 18세기 초반 토지매매에 지불수단으로 은자(銀子)가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18세기 초반은 동전유통이 시작된 지 오래되지 않은 시점이었기 때문에 거래수단으로 은자나 포목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 중에서도 은자는 토지와 같은 고가의 거래에서 활용하기 좋은 품목이었다. 은자(銀子)는 순도가 다른 정은(丁銀)과 정은(正銀)이 모두 사용되고 있었다. 이 밖에도 이 문서들은 돌곶이 지역의 토지가격 변동과 토지거래 절차 등을 상세히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순서

자료명

발급

수취

1

1712년 내시(內侍) 김석명(金碩鳴)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내시(內侍)

김여흥(金麗興)

내시(內侍)

김석명(金碩鳴)

2

1712년 답주(畓主) 내시(內侍) 김여흥(金麗興) 함답(緘答)

내시(內侍)

김석명(金碩鳴)

한성부(漢城府)

3

1712년 증인 내시(內侍) 김석빈(金碩彬) 등 함답(緘答)

내시(內侍)

김석빈(金碩彬) 

한성부(漢城府)

4

1712년 내시(內侍) 김석명(金碩鳴)

토지매매(土地賣買) 사급입안(斜給立案)

한성부(漢城府)

내시(內侍)

김석명(金碩鳴)

5

1732년 변동지댁(卞同知宅) 노(奴) 귀재(貴才)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노(奴) 수산(守山)

노(奴) 귀재(貴才)

6

1731년 차노(差奴) 염손(念孫) 패지(牌旨)

상전(上典) 장(張)

노(奴) 염손(念孫)

7

1730년 변첨지댁(卞僉知宅) 노(奴) 귀재(貴才)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노(奴) 세준(世俊)

노(奴) 귀재(貴才)

8

1731년 재주(財主) 장내시(張內侍) 노(奴) 염손(念孫) 초사(招辭)

노(奴) 염손(念孫)

-

9

1731년 증인 노(奴) 가금(加金) 필집 노한성(盧漢聖) 초사(招辭)

노(奴) 가금(加金)

-

10

1731년 변첨지(卞僉知) 노(奴) 귀재(貴才)

토지매매(土地賣買) 사급입안(斜給立案)

한성부(漢城府)

노(奴) 귀재(貴才)

11

1732년 변동지댁(卞同知宅) 노(奴) 귀재(貴才)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상현(韓尙賢)

노(奴) 귀재(貴才)

12

1732년 노(奴) 호찬(虎贊) 패지(牌旨)

상전(上典) 김(金)

노(奴) 호찬(虎贊)

13

1732년 변동지댁(卞同知宅) 노(奴) 귀재(貴才)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노(奴) 호찬(虎贊)

노(奴) 귀재(貴才)

14

1732년 노(奴) 수만(守萬) 패지(牌旨)

상전(上典) 김(金)

노(奴) 수만(守萬)

15

1732년 변동지댁(卞同知宅) 노(奴) 귀재(貴才)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노(奴) 수만(守萬)

노(奴) 귀재(貴才)

16

1732년 노(奴) 개부리(介夫里) 패지(牌旨)

상전(上典) 김(金)

노(奴)

개부리(介夫里)

17

1732년 변동지댁(卞同知宅) 노(奴) 귀재(貴才)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노(奴)

개부리(介夫里)

노(奴) 귀재(貴才)

18

1745년 재주(財主) 고(故) 변기화(卞箕和) 처(妻)

정부인(貞夫人) 김씨(金氏) 초사(招辭)

정부인(貞夫人) 김씨(金氏)

-

19

1745년 증인 변만복(卞萬福) 필집 김광현(金光鉉) 등 초사(招辭)

변만복(卞萬福)

-

20

1745년 변필화(卞必和) 토지매매(土地賣買) 사급입안(斜給立案)

한성부(漢城府)

변필화(卞必和)

※ 참고문헌
『역과방목(譯科榜目)』